•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세기 禮安縣 士族社會와 鄕案・院生案・校生案 (The Sajok Community(士族社會) and the Hyangan/鄕案 list, Weonsaeng-an/院生案 & Gyosaeng-an/校生案 registers of the Yaean-hyeon/禮安縣 region in the 17th-18th centuri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07.02
36P 미리보기
17~18세기 禮安縣 士族社會와 鄕案・院生案・校生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30권 / 57 ~ 92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순

    초록

    본 연구는 17~18세기 慶尙道 禮安縣에서 작성된 鄕案, 校生案, 院生案의 인적 구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17세기 세 案은 사족층의 신분적 권위와 개인이 지역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상징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각각 작성 주체와 입록 기준이 달랐기 때문에 입록 인물이나 입록 경향에도 차이가 있었으며, 그 변화 과정도 독립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세 안의 인적 구성을 비교 분석하여 사족사회의 구성과 그 변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예안에서는 1572년을 전후하여 향안, 교생안, 원생안을 각각 작성하기 시작하였다. 그후 17세기까지는 원생안을 중심으로 입록 범위가 제한된 가운데 세 案의 구성원이 점차 합치되어 갔으며 원생안과 교생안은 일원화되었다. 그리고 서원과 유향소를 주도하는 세력이 뚜렷이 분화되며 서원을 중심으로 하는 사족사회 내에서 유향소 품관의 입지는 축소되어 갔다.
    18세기에는 향안 입록이 중지된 가운데 원생안이 계속 폐쇄적인 성향을 유지한 반면 교생안은 점차 입록 범위가 확대되어 갔다. 그 결과 두 안의 인적 구성도 점차 이원화되어 갔다. 그리고 특정 문벌이 서원의 주도권을 장악한 가운데 원생안도 특정 문벌을 중심으로 작성되는 경향이 심화되었다. 이상과 같은 변화를 통해 16세기 후반 이래 예안 사족사회는 서원을 중심으로 통합되는 추세를 보였으나 18세기에는 해체 국면에 접어들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ajok figures of the 17th century were engaged in the operations of the Yuhyang-so/留鄕所 facility, the Hyanghwae/鄕會 community, the Hyanggyo/鄕校 and Seoweon/書院 schools. They also created lists such as Hyangan/鄕案, Weonsaeng-an/院生案 and Gyosaeng-an/校生案 registers. These three kinds of registers served as symbols of the Sajok community members' prestigious status in terms of social hierarchy, and also their status inside the local community.
    Yet people involved in creating those registers, and the standards that were applied to the task of creating those registers, differed from cases to cases. So the nature of members enlisted in such records also varied to a certain extent. One might ask how those registers were related to each other,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Sajok communities. In this article, in order to address such question, the Hyangan, Weonsaeng-an and Gyosaeng-an registers from the Gyeongsang-do province's Yaean-hyeon region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re examined and cross-referenced,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enlisted, and the relationships among such registers could reveal themselves.
    In the Yaean region, around 1572 people started to create Hyangan, Weonsaeng-an and Gyosaeng-an registers. In the 17th century, range of people that were enlisted in the Weonsaeng-an registers remained very small, yet gradually, the manifests came to be almost identical, with Weonsaeng-an and Gyosaeng-an being virtually merged. Paths of the factions involved in running Seoweon schools and Yuhyang-so facilities diverged, and the status of the Pumgwan figures of the Yuhyang-so facility inside the Sajok communities was weakened.
    In the 18th century, enlistment of the Hyangan lists was ceased, and the Weonsaeng-an registers continued to be closed to the outsiders. In the meantime, the range of people enlisted in the Gyosaeng-an registers grew considerably,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very two different kinds of registers. Also, the Weonsaeng-an registers were re-organized with certain Munbeol houses as influential figures. Through the changes mentioned above, we can see that the Sajok community of the Yaean region had been being unified with Seoweon schools as the core since the late 16th century, yet in the 18th century it started to be disassemb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