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악의 평범성을 넘어서 – 영화 <존 오브 인터레스트>의 정동적 전환 (Jenseits der Banalität des Bösen – Die affektive Wende im Film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5.03
21P 미리보기
악의 평범성을 넘어서 – 영화 &lt;존 오브 인터레스트&gt;의 정동적 전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66권 / 1호 / 375 ~ 395페이지
    · 저자명 : 이지연

    초록

    조나단 글레이저 감독의 영화 <존 오브 인터레스트>는 홀로코스트 영화의 계보를 잇고 있지만 가해자 중심의 서사 전략을 선택함으로써 기존 홀로코스트 영화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고 있다. 그 결과 이 영화는 이전 홀로코스트 영화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관객에게 불편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 영화를 통해서 관객들이 받게 되는 감각적이고 정동적인 전환에 주목하며 이 영화가 단지 ‘악의 평범성’을 보여 준다는 일반적인 해석에서 나아가 포스트메모리세대의 관객들에게 홀로코스트를 재활성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을 논증한다. 이에 2장에서는 영화에서 가해자의 가정생활이 전면에 드러내는 것이 아우슈비츠에서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이 학살에 공모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기 위한 전략임을 에코파시즘과 인종주의의 관계를 통해 살펴본다. 3장에서는 홀로코스트와 정동에 대하여 논의하면서 이 영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관객에게 정동적 전환을 불러오는지에 대하여 영화 속의 소음, 거리 두기와 클로즈업의 이미지 연출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이어서 주인공 회스의 마지막 구토 장면을 또 다른 학살에 대한 영화 <액트 오브 킬링>과 비교하며 이 장면의 정동적 마주침을 통해 관객이 과거를 직시하면서도 객관적인 거리를 두는 능동적인 목격자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Der Film Jonathan Glazer's <The Zone of Interest> setzt die Tradition der Holocaust-Filme fort, weicht jedoch durch eine erzählerische Strategie, die sich auf die Täterperspektive konzentriert, von den bestehenden Paradigmen der Holocaust-Darstellungen ab. Infolgedessen ruft dieser Film beim Publikum auf eine andere Weise unangenehme Gefühle hervor als frühere Holocaust-Filme. In dieser Arbeit wird untersucht, wie der Film einen sensorischen und affektiven Übergang beim Publikum bewirken kann, und es wird argumentiert, dass der Film nicht nur die „Banalität des Bösen“ darstellt, sondern auch eine Möglichkeit bietet, den Holocaust für das Post-Memory-Generation zu reaktivieren. In Kapitel 2 wird gezeigt, dass die Darstellung des häuslichen Lebens des Täters im Film nicht nur dazu dient, die Banalität des Bösen zu zeigen, sondern eine Strategie ist, um aufzuzeigen, dass die private und öffentliche Sphäre in Auschwitz in den Völkermord komplotieren und zusammenhängen. Diese Beziehung wird im Zusammenhang mit Ökofaschismus und Rassismus analysiert. Kapitel 3 behandelt den Holocaust und die Affekte, indem untersucht wird, wie der Film durch Geräusche, Distanzierung und Close-Up-Bildregie beim Publikum affektive Übergänge erzeugt. Zum Schluss wird die Erbrechenszene des Films mit dem Film <Act of Killing> verglichen und argumentiert, dass durch die affektive Konfrontation in dieser Szene das Publikum zu einem aktiven Zeugen wird, der die Vergangenheit konfrontiert und dabei eine objektive Distanz wah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