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정악대회의 성격과 의미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Jeongak Contest under Japanese Occupati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1.12
41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정악대회의 성격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67호 / 129 ~ 169페이지
    · 저자명 : 이예원

    초록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신문에 나오는 정악대회의 전개 양상을 통해 성격과 의미를 살펴보고,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정악대회는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 집중적으로 열렸는데, 외형적으로는 서양음악과 대중음악의 확산으로 인하여 정악이 사멸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이를 극복하려는 방안으로 개최되었고 내적으로는 주최 측과 후원 단체들의 자체적인 경비 마련을 위해서였다.
    정악대회를 주최한 기관은 중앙에서 경성여자미술학교, 여성휘보사, 중앙기보사, 조선음악협회 등이었으며, 지방에서는 개성고려청년회, 배영학원, 울산정악강습소, 공주정악회, 부산유치원, 동아일보사 논산지국 등이었다. 특히 1927년 경성과 개성, 대구, 김천, 원산, 평양 등지에서 정악대회를 주최했던 경성여자미술학교는 조선음악과의 개설을 홍보하고 학교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정악대회를 수시로 주최하는 등 정악 부흥에 공헌하였다.
    그리고 지역에서 열린 정악대회는 중앙의 순회공연도 있었지만, 지역의 기관이었던 정악회, 정악강습소, 청년회, 육영학원들이 자체적으로 기획하여 정악 홍보와 기금 마련을 위한 사회운동 차원에서 마련되었다. 또한 대회가 열린 공간도 중앙기독교청년회관, 울산청년회관, 개성좌, 대구 조양관, 개성청년회관 대강당, 백선행 기념관, 부산 공회당, 공주 금강관 등 신식극장이었다.
    출연진은 정악에 있어 조선정악전습소, 이왕직아악부, 조선음악협회 소속 또는 출신과 이화여자전문학교, 경성제대, 경성방송국 소속 악사 및 지방의 정악 동호회원과 봉래권번, 동래예기조합 소속의 기생들이었다. 정악대회의 프로그램은 <영산회상> 13곡을 연주하는 <가즌회상>과 가곡, 가사, 시조 등이 주축이 되었다. 하지만 정악대회는 공연 종목에 있어 정악 이외에도 판소리, 잡가, 산조, 가야금병창, <승무>, <검무>, 무도, <줄타기>, 서양음악 등을 포함하고 있어 다변화되었으며, 대회가 의미하는 경쟁 구도가 아닌, 종합공연물로 안착이 되어 나갔다.

    영어초록

    The paper looks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Jeongak contest through its development described in the newspapers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explores what it pursued. Jeongak contest was intensively held from the middle of 1920s to the middle of 1930s. From the outside, the contest aimed to overcome the approaching extinction of Jeongak due to the spread of Western music and popular music, but internally, it was for the hosts and sponsors to raise their own expenses.
    The host organizations included Gyeongseong Women's School of Art, Yeoseong Huibosa, Jungang Gibosa, and Joseon Association of Music in the central region, Gaeseong-Goryeo Yooth Association, Baeyoung School, Ulsan Jeongak Institute, Gongju Jeongak Society, Busan Kindergarten, and Dongailbo Nonsan Office in the provinces. Especially Gyeongseong Women's School of Art, which held Jeongak contests in Gyeongseong, Gaeseong, Daegu, Gimcheon, Wonsan, and Pyongyang in 1927,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Jeongak by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Joseon Music and regularly hosting Jeongak contests to gather operation funds for the school.
    There were centrally-hosted tours of Jeongak contest held in the provinces, but the local organizations such as Jeongak Society, Jeongak Institute, youth association, and Yukyeong School also organized their own Jeongak contests as public campaigns to promote Jeongak and raise funds. In addition, the contests were held at new theaters, such as Central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Hall, Ulsan Youth Center Hall, Gaeseong Theater, Daegu Joyang Hall, Gaeseong Youth Center Main Hall, Baek Seonhaeng Memorial Hall, Busan Public Hall, and Gongju Geumganggwan.
    The performers for the Jeongak contest were performers from Joseon Jeongak Jeonseupso, Yiwanggik Aakbu, and Joseon Association of Music, musicians from Ewha Collage,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members of Jeongak clubs in the provinces, and Gisaengs from Bongnae Kwonbun and Dongnae Gisaeng Association. The main programs of Jeongak contest were <Yeongsan Hoesang>, <Gajeunhoesang> (a suite of 13 songs), Gagok, Gasa, Sijo, etc. However, the Jeongak contest had diversified with various kinds of performances including Pansori, Jabga, Sanjo, Gayageum Byeongchang, <Seungmu>, <Geommu>, Moodo, <Jultagi>, and Western music in addition to Jeongak. In result, the contest established itself as a comprehensive performance rather than a competition in its original mea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