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악의 기원과 극복에 대한 신학적 고찰 (A Theological Investigation into the Origin of Evil and the Conquest of I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1.09
26P 미리보기
악의 기원과 극복에 대한 신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0호 / 279 ~ 304페이지
    · 저자명 : 윤철호

    초록

    인간의 삶에는 늘 고통이 있다. 이 세상에는 고통이 넘쳐난다. 어쩌면 인생에서 참된 기쁨이란 고통의 사막에서 드물게 만나는 오아시스의 꽃과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인생을 고해(苦海)라고 부른다. 고통은 우리의 생이 지속되는 한 벗어날 수 없는 운명의굴레이다. 우리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나는 고통당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고통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왜 고통이 존재하는가? 우리는 어떻게 고통과 맞서야 하는가?기독교 신학은 인간에게 고통을 가져오는 실재 또는 현실을 악이라고 부른다. 물론 이 악은 원천적으로 인간(악으로 고통 받은 그 당사자는 아니라고 하더라도)이 자초한 것이다. 성서에 따르면 세계는 악의세력에 묶여 있다. 모든 피조물이 “허무한 것에 굴복하여” 있으며, “썩어짐의 종 노릇” 을 하고 있으며,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을 겪고” 있다(롬 8:20-22). 엄청난 악의 현실과 고통 속에서 인간은 하나님의 부재를 경험한다. “고통은 어느 순간 동안 하나님이 존재하지않는 것처럼 보이도록 만든다.” 그러나 하나님이 계시지 않는 것 같은고통스런 악의 현실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을 향하여 부르짖는다. “주여언제까지니이까?”(시 13:1).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버리시나이까?”(마 15:34).
    악의 현실과 고통의 문제의 핵심은 그것이 하나님의 존재와 섭리를믿는 신앙에 중대한 도전이 된다는 사실에 있다. 오늘날 기독교 신앙은이해할 수 없는 부조리한 현실과 세계의 끔찍한 재난들로 인해 도전을받는다. 제1, 2차 세계 대전, 아우슈비츠, 히로시마, 체르노빌, 그리고 최근의 후쿠시마 등의 비극을 경험하면서, 현대인은 하나님이 어떻게 그렇게 많은 악을 허용할 수 있는지를 묻는데 그치지 않고 그렇게 많은악을 허용하는 하나님이 존재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 이것은 이른바 신정론(神正論, theodicy)의 문제이다. 그렇게 엄청난 악에 직면하여 어떻게 하나님의 주권을 계속해서 긍정할 수 있는가? 하나님이 전능하고선한 분이라면 이 세상에는 왜 그렇게 많은 악이 존재하는가? 아니, 과연 전능하고 선하신 하나님은 존재하시는가?이 글의 관심의 주된 초점은 신정론 자체의 문제 즉 악과 고통의 현실에 있어서의 전능하고 선하신 하나님의 정의의 문제에 있지 않다. 사실 신정론의 문제에 대한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최종적인 답은 존재하기 어렵다.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이 문제에 대한 완전한 해결이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사 55:8-9; 욥 9:126). 이 글의 주된 관심은 무엇보다 악의 극복 또는 정복을 위한 길을 새롭게 확인하는데 있다.

    영어초록

    The reality of evil and suffering challenges the Christian faith in the existence and providence of God. Today, Christian faith is challenged by incomprehensible absurdities and horrible disasters in the world. In this paper, I try to make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evil and the way to overcoming it. The focus of this paper is not on the problem of theodicy itself, that is, that of the justice of God who is both omnipotent and infinitely good in the reality of evi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firm in the new way the way towards the overcoming and conquest of evil, for which the investigation of the origin of evil is a prerequisite.
    The origin of evil is investigated with regards to the themes like “creation and human beings,” “sin,” and “evil and suffering.” In the next, the overcoming of evil is investigated under the subtitles “God’s providence,”“God’s suffering in Jesus Christ,” and “Christians’ suffering in Jesus Christ.”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the power of evil which causes suffering to human beings is overcome and conquered by the self-suffering love of God in Jesus Christ which was uniquely manifested on the cross and followed by the resurrection. And it is also stressed that Christians are called to participate in the self-suffering love of God in Jesus Christ through the discipleship of practice, even though the final resolution and conquest of evil and suffering will be ultimately fulfilled by God Himself in the eschatological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