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악관현악의 흐름과 발전 방향 (The Flow and Future Direction of Kugak Orchestr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8.06
24P 미리보기
국악관현악의 흐름과 발전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60호 / 137 ~ 160페이지
    · 저자명 : 임혜정

    초록

    국악관현악(國樂管絃樂)은 한국에서 서양의 오케스트라가 곧 ‘관현악’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은 뒤에 시도된 음악이다. 국악관현악은 1960년대 후반 이후 1970년대까지도 서양 오케스트라와 다르다는, 혹은 못 미친다는 이유로 곱지 않은 시선을 받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구화된 무대 기준에 부합하는 국악관현악을 꾸리기에 급급했던 음악인들은 연주편성이나 공연형태 등에서 적극적인 현대화를 추진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 현대화라는 미명하에 서양 오케스트라의 모방이 어느 정도 묵인되기도 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국악관현악’이라는 독립된 장르로서의 안정성을 찾게 된 이후에는 적극적으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실천해 나간다. 이는 1960년대 국악관현악이 본격적으로 시도된 이후 근 20년 가까이 축적된 인적 구성, 레퍼토리, 연주 편성 등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이와 더불어 당시 한국 전통문화에 보이던 사회적인 관심을 이용해서 서양의 오케스트라와는 다른 눈으로 국악관현악을 바라보게 하는 연주회를 개최해 나간다.
    국악관현악으로서의 발전 방향에 대한 모색은 1990년대 이후에 더욱 활발해진다. 사물놀이, 국악가요 등 유행하는 음악을 접목한 레퍼토리의 개발이나, 유명한 소설의 음악극화 등 다양한 시도들이 이때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는 단지 대중들의 취향을 반영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다양한 전통음악으로 대중의 취향을 이끌고 가려는 시도로까지도 이어졌다.
    즉, 관현악을 국악으로 시도했던 출발점에서 서양의 오케스트라와 비견하는 사회적인 시각에 맞추려 했던 국악관현악은 오늘날 새로운 음악문화를 만들어서 이를 통해 청중의 취향을 선도하는 위치까지 오게 된 것이다. 국악관현악의 시대성은 매 시대의 상황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의 시대 문화를 미리 예감하는 것까지 포함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한편 1980년대 이후 오늘날까지 다양한 국악관현악단이 설립되고, 이들 단체들은 현대사회의 ‘국악’을 풀어나가는 음악인들의 단체로서 존재하는 상황이 되었다는 점 역시 눈여겨보아야 한다. 앞으로 국악관현악과 관련된 담론을 이어나감에 있어서, 국악관현악이라는 음악 장르와, 국악관현악단이라는 단체를 분리해서 그 역할과 발전 방향을 논의해야하는 시기가 온 것이다.

    영어초록

    The Flow and Future Direction of Kugak Orchestra

    Im, Hye-jung [Im Hye-jŏng]

    Kugak 國樂 orchestra is a music attempted after the recognition of Western orchestra as ‘orchestra' in Korean traditional music. From the late 1960s to the 1970s, some scholars denied the value of a kugak orchestra. Some thought that the kugak orchestra was different from the Western, or it lacked qualification compare to the western. In such a situation, musicians who were urged to install the kugak orchestra in accordance with the westernized stage standards were forced to actively modernize in the form of performance and orchestration. And the imitation of the Western orchestra was tolerated to some extent under the name of modernization.
    However, in the 1980s, after finding the stability as an independent genre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kugak orchestra actively seek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accumulation of human resource, repertoire, and performance, which have been accumulated for nearly 20 years since the kugak orchestra was first tried in early 1960s. In addition to this, they held a concert to look at Korean music orchestra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an western orchestra, using social interest that was concentrated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t that time.
    The search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became more active after the 1990s.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at this time, such as the development of a repertoire that combines popular music such as Samul nori 사물놀이 and kugak popsong, and the dramatization of famous novels. An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0s, it has not only reflected the taste of the public, but also led to attempts to lead popular tastes with various traditional music.
    In other words, kugak orchestra, which tried to match the social view comparable to the Western orchestra at the starting point of attempting orchestra as a Korean classical music, has come to the point where it creates a new music culture and lead the audience's taste through it. The age of kugak orchestra is not limited to responding sensitively to the situation of every era, but it can be said that it includes the anticipation of upcoming culture.
    Moreover,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since the 1980s, various orchestras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se organizations have existed as a group of musicians relea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odern society. For the future of the kugak orchestra, it is time to discuss the rol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ugak orchestra by separating the music gen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music performing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