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종의 악(樂) 학습 기록 연구 (A Study on Sejong's Music Learning Record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1.11
22P 미리보기
세종의 악(樂) 학습 기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상연구 / 35권 / 4호 / 125 ~ 146페이지
    · 저자명 : 염명경

    초록

    본 연구는 세종의 악(樂) 학습을 세종의 즉위 이전과 재위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세종은 유년 시절의 독서 습관과 즉위 이후 경연(經筵)에서의 악서(樂書) 탐독으로 아악(雅樂)을 정비하게 되고 재위 후반에 신악(新樂) 창제라는 과업을 이루게 되었다.
    세종은 즉위 이전에 금슬(琴瑟) 연주 등을 통해 악(樂)을 향유하는데 필요한 소양을 이미 갖추었고, 재위 이후에는 경연에서 채원정(蔡元定, 1135-1198)의 『율려신서』를 강독했다. 세종은 『율려신서』 강독을 통해 음률의 기본이 되는 황종율관의 길이가 중국에서도 일관성을 얻지 못했고, 우리나라의 제례악에 아악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으며, 아악 정비의 기준이 되었던 『율려신서』도 형식만 갖추어 놓았을 뿐이므로, 중국 역시 『율려신서』대로 아악을 정비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다시 말해, 세종은 『율려신서』를 통해 악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아악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적용하는 안목을 갖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악을 창제한 후, 백성을 교화하는 방법으로 신악을 활용하고자 했다. 즉, 경연에서의 세종의 악 학습은 신악 창제라는 업적을 달성하는 밑거름이 되었고, 세종은 악(樂)으로 백성을 교화하려는 포부를 가지고 신악을 창제하게 되었으므로, 세종의 악 학습은 경연의 궁극적 목적을 실현한 구체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cords of King Sejong's learning of music throughout his life. Sejong's reading habits in his childhood and his tempting reading of books on music during ascension led Sejong to prepare an Aak(雅樂) and achieve the task of creating Sinak(新樂) in his late reign.
    King Sejong had enough performance skills to teach his older brother Yangnyeong Geumseul(琴瑟) when he was in Prince Chungnyeong. King Sejong realized through the 『Yulryeosinseo(律呂新書)』 that the length of the Hwangjongyulgwan (黃鍾律管) was not consistent with China, that it was impossible to make the appropriate Hwangjongyulgwan in Korea, that it was not appropriate to use an Aak(雅樂) as Korea's ritual music, and that China also didn’t have an Aak(雅樂) as it was.
    In brief, with the training on music and learning of 『Yulryeosinseo』, King Sejong felt the need to create music suitable for Korea's climate and natural characteristics. This awareness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King Sejong's creation of Sinak(新樂) in his late reign. King Sejong created Sinak as a way to edify his people with music, so his learning of music has an educational mea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