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Goldenhar 증후군의 신생아기 임상적 특징과 추적 경과 (Neonatal Presentation and Follow-up of Goldenhar Syndrome)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4.03
8P 미리보기
Goldenhar 증후군의 신생아기 임상적 특징과 추적 경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주산의학회
    · 수록지 정보 : Perinatology / 25권 / 1호 / 9 ~ 16페이지
    · 저자명 : 이명숙, 박재현, 최수영, 성세인, 안소윤, 유혜수, 박원순, 장윤실

    초록

    목적 : Goldenhar 증후군의 신생아 시기의 발현 향상과 이들의 동반 기형, 및 추적과정을 계통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조기 진단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4년부터 2013년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Goldenhar 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29명의 차트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신생아기에 진단된 13명(neonatal group)과 신생아기 이후에 진단된 16명(non-neonatal group)으로 나누어 동반 기형 및 시행된 시술을 계통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신생아시기에 진단된 환자들의 평균 재태 주수는 38+1±2+4주 평균 출생체중은 2,853±544 g 이었으며 3명(23%)은 미숙아였다. 신생아시기에 주로 전이주와 귀, 얼굴의 형성 이상으로 우선 진단되며, 동반되는 기형은 약 50%에서 심장 기형이 30%에서 비뇨생식기 이상이 15%에서 척추 기형이, 31%에서 기타 기형이 동반되었다. 이들의 장기 추적 결과 약 40%에서 청력이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전체 환자의 약 1/4에서 양측 청력의 문제로 청력 보조 장치 등의 시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행해지는 시술로 전이주의 제거가 가장 흔하게 이루어졌으며, 구강, 눈, 기타 연관 시술 또는 수술이 각각 1/4의 환자들에서 시행되었고 심장관련 수술이 15%에서 이루어 졌다. 동반기형 및 시술의 빈도에 있어서도 신생아 시기 및 신생아 시기 이후 진단된 두 군 사이에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Goldenhar syndrome은 다양한 동반 기형들을 가지는 증후군으로 환자의 증상에 따라 여러 과들의 협진을 통해 지속적인 평가 및 적절한 교정이 필요하며, 특히 귀의 기형을 동반한 경우 청력 이상 등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Purpose : Expression patterns, associated anomalies and progress of the patients with Goldenhar syndrome from the neonatal period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is allows us to evaluate the need for early diagnosis.
    Methods :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29 infants with Goldenhar syndrome whose diagnosed in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1994 and 2013. Associated anomalies and procedures between neonatal group (n=13) and non-neonatal group (n=16) were systematically compared.
    Results : Mean gestational age in the neonatal group were 38+1±2+4 weeks and 3 patients (23%) were preterm infants. The average birth weight in the neonatal group were 2,853±544 grams. Goldenhar syndrome was mainly diagnosed by ear and face anomalies during the neonatal period. The associated anomalies in neonatal group were cardiovascular anomaly (54%), genitourinary anomaly (30%), vertebral anomaly (15%), and others (31 %). About 40% of patients who had long-term follow-up revealed hearing abnormalities and about 1/4 of all patients had bilateral hearing problem, which resulted in requiring hearing aid devices. In addition, the most common procedure performed during follow-up was preauricular skin tag removal. And other procedures or surgery related to oral, eyes, and others were performed in each 1/4 of the patients. Cardiac surgery was done in 15% of total patients. Frequency of associated anomalies and performed procedures between the patients diagnosed at neonatal and non-neonatal perio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should be undertaken by multi-departments when evaluating pati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Perinat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