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여나성 동나성 2문지 발굴조사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Excavation Survey on the Remains of Gate 2 in the Buyeo Naseong Fortress(Outer city wall of Buyeo))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4.08
28P 미리보기
부여나성 동나성 2문지 발굴조사의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1권 / 51호 / 157 ~ 184페이지
    · 저자명 : 심상육, 이명호, 김태익, 김선옥

    초록

    사비도성은 백제 후기의 수도로 고구려의 도성과 마찬가지로 커다란 背後산성(청마산성)이 결합된 구조이며, 그 외측으로는 大小의 산성이 환상으로 배치되어 도성의 방어력을 높이고 있다. 그리고 도성은 內城外郭으로 구성되어 최후 방어선으로 부여나성이 구축되어 있다. 이 부여나성은 사비도성의 외곽 성벽만을 지칭하는 용어로 지금까지 20여 차례의 조사를 통하여 동나성과 북나성의 6.6㎞의 성벽선을 확인하였으며, 토축부와 석축부로 구축된 내탁식의 석축성임과 동시에 사비 천도 전에 사비도성의 계획하에 완성된 성벽임이 밝혀지고 있다.
    금번 동나성 2문지의 발굴조사는 지금까지의 부여나성의 조사현황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확인된 성벽선·지형별 축조기법·구간별 축조·기저부의 조성·토축부의 특징·성벽의 개보수·성벽의 축조시기와 부여나성의 문지 등을 일괄한 후 2문지의 발굴조사 내용을 수록하였다.
    사비도성의 내외부 통로인 동나성 2문지는 산지의 교통로 상에 위치한 성문으로 성외부에서는 문의 유무를 가늠할 수 없는 숨긴문이며, 개구부 두 성벽이 어긋난 어긋문 형식이다. 이 문지는 도성의 배후산성인 청마산성을 잇는 최단거리의 교통로상에 위치한 문지로 두 차례에 걸쳐 성문이 개변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개구부는 너비 7~15m에 이르는 평면 사다리꼴을 띠고 북측부는 구조물이 놓여 성벽과 마찬가지로 내외를 차폐하는 역할을 하였고, 남편은 계단상의 통로로 활용하였음이 밝혀졌다. 즉, 일반적인 성문은 개구부가 통로임에 비하여 2문지는 개구부의 폭도 넓을 뿐만 아니라 개구부에 통로 이외에 다른 시설물이 설치된 것으로 일반적인 성문과는 상당히 이질적인 문지 형태이다. 그리고 2차문지의 구지표에 가까운 폐기층에서 백제시대 사비기에 해당하는 유물만이 출토되어 성문의 운용은 백제 사비기에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Sabi capital is the late one of the Baekje Dynasty and it shows the structure same as the Goguryeo capital connected with the large rear fortress such as Cheongma Mountain Fortress. On the extended line, small and large mountain fortresses are arranged as a ring shape and they are raising the defence of the capital. Moreover, the capital is composed of internal donjon and external fortresses and was built Buyeo Naseong fortress up as the final line of defence. This Buyeo Naseong fortress is a term indicating only outer rampart and it was identified 6.6 kilometers of fortress wall lines on the eastern and northern Naseong fortresses through around 20 surveys until now. In addition, it is revealing that it was a stone built-up fortress where comprises earthen and stone structures and at the same time it was constructed by the master plan of the Sabi capital prior to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his time the estimate report on the eastern part of the remains of gate 2 introduces the survey status of the Buyeo Naseong Fortress and summarizes Fortress lines identified through this, structure methods in terrain, construction in sectors, the building of foundation, special features of earthen part, the improvement and repair of ramparts, the construction date of ramparts and the gate remains of the Buyeo Naseong Fortress; in addition, it mentioned the contents of excavation survey on the remains of gate 2.
    The remains of gate 2 in the eastern part for internal and external passages of the Sabi capital are a sort of fortress gate located on a line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y are a hidden gate that cannot see them from outside and a deviation door type that goes crisscross two ramparts of the entrance. These gate remains are on the shortest traffic route of the capital connected with the rear fortress, Cheongma Mountain Fortress; they were confirmed that the fortress gate was improved twice; moreover, the entrance is 7-15 meters in width and shows a flat echelon formation; it revealed that the northern part had certain structures and they played a role to cover inside and outside; furthermore, the southern part was employed for the route for staircases. In brief, fortress gates in general have entrances for routes; by contrast, the gate 2 remains have a quite wide entrance and they were installed different facilities saved routes; they illustrate quite distinguished gate remains compared with other general fortress gates. Moreover, the destruction layer near the old surface of the earth in the gate 2 remains only revealed objects in the Sabi period of the Baekje Dynasty.
    As a result of this, it can confirm that the management of fortress gate merely had done in the Sabi Baekje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