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디어 미학을 통해 본 공간 인식의 변화와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 & Change of Awareness about Space in Responses Viewd through the Media Aesthetic)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2.09
13P 미리보기
미디어 미학을 통해 본 공간 인식의 변화와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8권 / 3호 / 500 ~ 512페이지
    · 저자명 : 정재원

    초록

    미디어가 발달하면서 문자문화에서 이미지 문화로전환되었고, 이미지 수용방식의 변화를 통해 미디어미학의 분석 대상이 변화하였다. 미디어 미학은 현대예술과 디자인에 있어서 중요한 의의를 지녔다 할 수있다. 특히, 지각이론으로서의 미디어 미학과 감성이론으로서의 미디어 미학은 현대 공간디자인의 특성을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와 미디어에의한 문화의 변화에 따라 공간에 대해 새롭게 나타난시각과 인식의 변화에 대하여 미학적으로 접근하여고찰하고, 미디어 미학적 관점으로 본 공간 인식의 변화와 미디어 발전에 따른 특성변화를 밝히고 뉴미디어 공간의 특성과 표현 경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단행본, 관련 출판물과 학술정보 사이트의 D/B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최근의 미디어 기술이 접목된 공간디자인 작업 중에 2000년 이후의 작품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미디어 미학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미디어에 의해발생한 평가체계의 변화를 문헌고찰을 통해 알아보았고,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근대건축과 비교하여밝혀냈다. 미디어에 의한 공간 인식의 변화와 뉴미디어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인식의 변화는 미디어에 의한 비물질화 경향과 형태적 모호성, 그리고 이미지 중시 경향을 알 수 있다. 공간에서 이미지는 의미를 내포하고, 재현 체계로써의 매체적 특성에 의해 발현되며, 수용 체계의 주체인 인간의 지각과 사고를 거침으로써 물질적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특성이 복합적이고 동시적으로 나타난다. 공간에 표현되는이미지는 결국 복합적인 현상이라 볼 수 있으며, 미디어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디어에 의한 공간에서의 주된 표현 양상을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미디어 발전에 의한 미디어 공간의 특성은 연속성개념과, 상호작용, 빗물질화, 유동성, 잠재적 관계성으로 분석하였으며, 도출한 공간의 특성에 따라 사례를분석하여. 그 결과 현대 미디어 공간의 미적 경향과감성적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development of media has transferred word-culture to image one and the changes in image acceptance mechanism has changed analyzing subject of aesthetics. The media aesthetics can be important to the modern art and design. Especially,the media aesthetics as perception and sensibility theories becomes the fundamental ke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of modern space.
    This research give an aesthetic contemplation on the changes in visual and conception, which are resulted from changes in culture caused by media,and examine changes in perception on space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aesthetic view. In doing so, this paper has conceptualized aesthetics and its importance though investigating relevant literature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done by analyzing thesis, article of journal, research essay and books, D/B on site of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he space design projects since 2000 that connect the recent media technology selected to analyze the case and were investigating.
    Through the theory consideration of media aesthetic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hanges in awareness of space which has been led by media.
    The tendencies in new perception on space have been classified into non-materialized, morphological ambiguity and image-focused ones.
    From this,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changes in media has been focused on turning of space to image and the meaning of the image has changed as time has gone by. The image has characteristic of signal as a symbolic system.
    The image contains meaning and is manifested by characteristics of media as representation system and present physical characteristics through human’s, the main agent of acceptance system, and thinking. Such characteristic appears integrated and synchronistically The image presented on space can be seen as an integrated process and it is largely affected by media.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main tendency in presenting spatial image by media along with periodical stream.
    The modern new media has generated new equilibrium of sense and is leading to new type of environment-space. Through the aesthetics of new media as sensitivity theory, we can communicate with the aesthetic tendency of media space and emotionalized daily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