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미술 분포를 통해 본 신라문화권의 북방한계 (Study on the Northern Cultural Area of Silla by the Distribution of Buddhist Art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9.08
38P 미리보기
불교미술 분포를 통해 본 신라문화권의 북방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46호 / 219 ~ 256페이지
    · 저자명 : 정성권

    초록

    삼국시대 상대적으로 약소국이었던 신라는 경상도 일원의 작은 나라였다. 이러한 신라는 당나라와 연합하여 660년 백제를 무너뜨리고 668년 고구려의 평양성을 함락시켰다. 고구려 멸망이후 신라는 당나라와 전쟁을 치렀으며 676년 마침내 승리하였다. 나당전쟁의 승리 결과 신라는 대동강과 원산만 이남의 지역을 신라의 영역으로 확보하였다.
    통일신라는 대동강과 원산만 이남의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했으나 구 백제 지역과 한강유역을 포함한 구 고구려 지역에 대한 신라의 지배 방식은 매우 달랐다. 구 백제 지역에 대한 신라의 지배는 백제 유민과 백제 지역 사람들을 신라 문화에 동화시키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에 반해 구 고구려 지역에 대한 신라의 지배는 군사적 관리 방식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신라의 점령지역 지배방식에 대한 차이는 통일신라시대 창건된 사찰과 불교미술의 분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사찰은 삼국시대 이래 고급문화가 집결되는 장소이다. 구 백제지역인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는 통일신라시대 창건되거나 중창된 많은 수의 사찰과 사찰터가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의 경기도와 북한지역 일대에서는 신라에 의해 창건된 사찰의 분포비율이 낮으며 불교미술 또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즉 구 고구려지역에는 통일신라 문화가 해당 지역에 깊이 습합되지 않았다.
    불교미술은 삼국시대 이래 각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였다. 본문에서는 삼국과 통일신라시대 문화의 아이콘이라 할 수 있는 불교미술과 유적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백제 석탑의 분석을 통해 미륵사지 석탑,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백제문화의 표상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삼국시대 존재하지 않았으나 통일신라시대 들어와 처음 만들어진 이중기단의 삼층석탑과 비로자나불상 등은 통일신라문화권의 범위를 보여주는 아이콘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본문에서는 통일신라문화권의 북방한계선을 문화적 상징성을 갖고 있는 불교미술의 분포를 통해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통일신라문화권의 북방한계선은 속초-인제-홍천-횡성-원주-안성-평택을 잇는 선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통일신라의 영토는 평양-원산만 이남지역이었다. 그러나 통일신라의 문화가 거주민들의 일상생활과 의식 속에 깊숙이 스며들었던 범위는 속초-원주-평택 이남지역으로 볼 수 있다. 맺음말에서는 통일신라문화권이 중부지역을 사선으로 가로질러 설정되는 배경과 그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Silla, a relatively weak countr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a small nation in Gyeongsang Province. Silla, allied with the Tang Dynasty, toppled Baekje in 660 and destroyed the city of Pyongyang in 668. After the fall of Goguryeo, Silla fought a war with the Tang Dynasty and finally won in 676. As a result of the victory of the War, Silla secured areas south of the Taedong River and Wonsan Bay as the territory of Silla.
    Unified Silla extended its territory to the Daedong River and areas south of Wonsan Bay, but Silla's control over the former Goguryeo region, including the former Baekje region and the Han River region, was very different. Silla's control of the former Baekje region has put great effort into assimilating the former people of Baekje and the people residing in the region of Baekje into Silla culture. In contrast, Silla's control over the former Goguryeo region paid more attention to the method of military maintenance. The difference in the way Silla ruled the occupied areas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Buddhist art and temples establish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emples have been a place where high-level culture has been concentrat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the former Baekje areas, there are large numbers of temples and their establishments built or re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However, the current distribution ratio of temples built by Silla is low in Gyeonggi and North Korea, and little is known about Buddhist art. In other words, the culture of unified Silla was not deeply integrated in the former Goguryeo region.
    Buddhist art has served to represen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is text, we conducted an analysis of Buddhist art and historical sites, which are the icons of the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and Unified Silla Perio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one Stupa of Baekj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one Stupa of Mireuksa Temple Site of Maitreya and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Jeongrimsa Temple Site could be a symbol of Baekje culture. The double-based Three-story Stone Stupa and the Vairocana Buddha Statue, which did not exist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first built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were could be icons that show the scope of the Unified Silla culture. In the text, the Northern Limit Line of the Unified Silla cultural area was identifie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Buddhist art with cultural symbolism. As a result, the Northern Limit Line in the Unified Silla cultural area could be established as the line connecting Sokcho - Inje - Hongcheon - Hoengseong - Wonju - Anseong - Pyeongtaek. The territory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was in the southern region of Pyongyang - Wonsan Bay. However, the extent to which the culture of Unified Silla deeply permeated the daily lives an,d consciousness of residents can be seen as the region of Sokcho - Wonju - south of Pyeongtaek. In the closing words, we looked at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Unified Silla cultural area being set up across the central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