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간관을 통해 본 <농가월령가>의 지향 (The Aim of throughthe concept of tim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8.12
28P 미리보기
시간관을 통해 본 &lt;농가월령가&gt;의 지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64권 / 64호 / 7 ~ 34페이지
    · 저자명 : 신성환

    초록

    본고는 정학유의 <농가월령가>에 나타난 ‘시간관’을 통해 작품의 의미와 지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농사가 매년 반복되듯 <농가월령가>에도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시간관이 내용적․구조적으로 표출되어 있다. 각 월령 안에 12달 → 춘하추동 → 24절기가 배열되어 있으며, 절기에 따른 세시풍속과 놀이의 장면을 배치했다. 이는 家祭나 洞祭 등의 제의에서 ‘풀이’ → ‘음복’ → ‘놀이’의 과정을 통해 제의에 참여한 구성원들의 공동체 의식을 배양하는 것처럼, 일정한 리듬의 공유와 반복을 통해 하나의 집단이라는 사회적 의식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순환적 시간관을 통해 형성된 공동체 의식은 ‘共存’을 위한 모색으로 이어진다. 자연재해를 비롯한 갖은 위기에 무방비로 노출되었던 19세기의 농민들은 하루하루의 생존이 삶의 큰 목표였다. 그렇기에 그들은 위험을 감수한 이익의 극대화보다는 생존의 한계선 밑으로 내려가지 않는 안전제일의 원칙을 추구했다. <농가월령가>에서도 더 높은 수입의 창출보다 실질 수입의 안정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의식이 나타난다.
    요컨대 <농가월령가>는 향촌공동체의 운영 원리를 간파한 어느 지식인이 공동체적 삶의 방식을 공고히 함으로써 농민 다수의 생활이 생존한계선 아래로 떨어지는 위기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 의도가 담긴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正道 - 농사 - 가 아닌 다른 길로 많은 이익을 획득하려는 과도한 욕망의 소유자들에게 보내는 설득의 결과물로도 읽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aim of <Nonggaworllyongga> through the concept of time. In this text, the concept of time is presented repeatedly like the agriculture. it places seasonal customs and plays in order of 12 months, four seasons and the 24 seasonal divisions in <Nonggaworllyongga>. It performs that people create a sense of community through sharing and repetition. This is the same as they perform ancestral rites at home or join the village rituals repeating the process of 'explanation', 'partaking sacrificial food and drink' and 'play'.
    Community consciousness build by tim circulation is connected to finding the way to coexistence. In 19th century, people were exposed many crisis like natural disaster without preparation and the main purpose of daily life as a farmer is to survive. Therefore, people pursue safety first rules rather than maximizing advantage and it appears in <Nonggaworllyongga> also.
    <Nonggaworllyongga> is written by an intellectual who understands the management principle of the country village community. This piece of a work connotes the writer’s intention that prevented farmers from falling down to their survival limit. In addition, it could be a persuading message sending to those who try to gain more profit for their extreme desire with unfaithful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