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문학을 통해 살펴본 서울 중구의 명소 (Sights in Jung-gu, Seoul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2.02
42P 미리보기
고전문학을 통해 살펴본 서울 중구의 명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86호 / 35 ~ 76페이지
    · 저자명 : 성민경

    초록

    본고는 고전문학을 통해 현재 서울 중구에 속하는 名所들이 어떤 이미지로 재 현되고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고전문학에서 묘사되는 중구의 주요 공간으로 南山, 청계천, 七牌를 주목하였고, 그 형상화의 특징을 각각 ‘명승과 청빈한 선 비의 공간’, ‘번화한 도시적 유상 공간’, ‘생동하는 서민의 생활공간’으로 파악하였 다. 조선전기 한시에서 남산은 봄에 꽃구경하기에 제격인 명승으로 자주 언급되 고 있는데, 조선후기 歲時記를 보면 남산은 조선시대 내내 명승으로서 표상되었 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남산은 가난하고 소외되었지만 청빈한 선비의 공간으로 묘사되고 있다. 청계천의 경우, 조선후기에 성내 인구 증가에 따라 청계천의 정 비가 이루어지고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게 되면서 번화한 도시적 유상공 간으로 부상한다. 특히 광통교 부근은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시전이 형성되고 놀이 문화가 발달했으며, 서울의 도시화·상업화로 화훼·골동 등의 소비문화 가 확산됨에 따라 속화가 유통되는 공간으로 재현되고 있다. 그리고 조선후기 문 학에서 운종가와 광통교를 비롯한 한 당시 한양의 중심가는 연애의 공간으로 표 상되고 있으며, 전래하던 세시풍속의 메카로도 주목된다. 마지막으로 칠패 시장, 즉 지금의 남대문시장은 18세기 무렵 뚜렷하게 자리를 잡았고, 고전문학 작품 속 에도 등장하기 시작한다. 칠패는 종로의 육의전과 달리 자유 상인인 私商들이 활 동하던 공간으로, 보다 서민적이고 활달한 모습으로 문학 속에서 재현되고 있다. 한양이 조선의 수도로 기획되고 발전한 이래로 중구에 속하는 주요 공간들은 그 장구한 역사성으로 인해 이미 우리에게 공통된 심상을 불러일으키는 상징으로 각인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곳들은 현재에도 중구의 주요 관광자원이자 문화공간으로 역할하고 있는데, 고전문학에서 이 공간들이 형상화되는 양상을 살피 는 것은 현재 이들 공간이 갖는 심상의 원형을 탐색하는 작업으로서도 의미가 있 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mage of attractions that belong to Jung-gu, Seoul,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Namsan, Cheonggyecheon, and Chilpae were the main spaces in Jung-gu, Seoul described in classical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 age were identified as ‘a space of scenic beauty and poor scholars’, ‘bustling urban en- tertainment space’, and ‘a vibrant living space of the common people’, respectively. In the Chinese poetry of the early Joseon Dynasty, Namsan is often mentioned as a sce- nic spot perfect for viewing flowers in spring. In the Sesigi(歲時記) of the late Joseon Dynasty, it can be seen that Namsan was represented as a scenic spot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And Namsan is portrayed as a space for scholars who were poor and marginalized, but poor. In the case of Cheonggyech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the city’s population increased, the Cheonggyecheon was repaired and many people lived around it, and it emerged as a bustling urban entertainment space. In particular, in the vicinity of Gwangtong Bridge, many people gathered, a market was formed and a play culture developed, and as the consumption culture spreads due to the urbaniza- 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Seoul, it is being reproduced as a space where a com- monplace paintings are distributed. And in the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entral streets of Hanyang, including Unjongga and Gwangtong Bridge, are repre- sented as spaces for love, and are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the Mecca of traditional customs. Finally, the Chilpae market took a clear place around the 18th century, and it began to appear in classical literature works, and it is being reproduced in litera- ture as a lively and popular figure. Since Hanyang was planned and developed as the capital of Joseon, the major spaces belonging to Jung-gu have already been imprinted with symbols that evoke a common image in us due to their long history. These plac- es are still serving as major tourist resources and cultural spaces in Jung-gu. I think that examining the shape of these spaces in classical literature is also meaningful as a work to explore the original image of these sp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