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푸코와 바흐친을 통해 바라본 담론의 바깥 (A Study on the Outside of Discourse from the Views of Foucault and Bakhti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1.02
28P 미리보기
푸코와 바흐친을 통해 바라본 담론의 바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17권 / 327 ~ 354페이지
    · 저자명 : 조수경

    초록

    하버마스는 모든 억압과 왜곡으로부터 자유로운 담론 상황을 ‘이상적 담화 상황’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상적 담화 상황’이 언어를 의사소통의 매개체로 간주한다는 데서 본 논문의 의문은 시작된다. 푸코와 그의 영향을 받은 학자들이 밝힌 담화(담론)가 가진 속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과 배제의 원리’다. 담론을 제한하거나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권력이며, 권력에 의해 담론은 선택되거나 배제 당한다. 둘째, 담론은 자신들의 입장을 방어하고, 반대의 입장을 공격하는 병기로 작용한다. 셋째, 담론 내부의 드러나지 않는 심층구조에는 태도, 입장, 권력과의 관계, 이데올로기적인 위치가 숨겨져 있다. 이러한 담론의 속성에 주목한다면, 담론의 문제는 언어를 주목해서 보편성을 추출하는 것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
    이 지점에서 언어학의 바깥으로 눈을 돌린 바흐친과 푸코의 논의는 설득력을 가진다. 담론이 결코 투명할 수 없다는 푸코의 논의나 담론의 문제는 바깥으로 시선을 향하는 경우에 답이 열린다는 바흐친의 논의에서 ‘진실을 말하는 용기, 즉 파르헤지아적 용기’를 를 가진 인물로 소크라테스를 찾을 수 있다. 소크라테스적 대화에서 공통된 출발지점을 가진 푸코와 바흐친은 각각 ‘자기 배려’, ‘다성적 대화’를 통한 담론 바깥에서의 해결점을 찾아낸다. 자기 배려는 고대의 지혜를 통해서 낯섦의 효과를 발생시키고 수치스럽지 않게 살 만한 자기를 생산하는 절차와 실천의 문제다. 푸코가 말하는 자기 배려의 윤리는 자기 내면으로 퇴각하는 개인 생활의 섬세한 연출이 아니며, 행복의 기술도 아니다. 자기 배려는 우리의 사유와 원칙, 담론과 행실 간의 일치, 조화, 정합성이 설정되는지를 지속적으로 경계하는 행위다. 바흐친은 다성적 대화의 과제를 수행한 인물로 도스도옙스키에 주목한다. 그의 작품은 수많은 별개의 관점이 대화를 시작하는 세계를 창조해내며, 그 안에서 타자들이 저자의 이데올로기와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 순서로, 다성적 목소리를 만들어 내는 파르헤지아적 작가로 ‘카프카’를 발견하고 그의 작품을 주목한다. 카프카는 그의 작품을 통해 ‘종결 불가능한 대화’를 창출했으며, 매 순간 새로운 조합을 이끌어내며 바깥을 향하는 파르헤지아적 용기를 가지고 있다. ‘소송’이라는 그의 작품이 출발점에서 시작해서 출발점으로 끝나는 ‘종말장 지양’의 방식을 갖고 전개된다는 점은, ‘가장 낮은 곳에서 가장 높은 곳에 이르기까지 그때마다 상응하는 강렬도를 산출’한다는 들뢰즈의 말을 증명하기에 충분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a key assumption that 'characteristics of discouse can be found in not its inside, but its outside'. The prism through which we can see those characteristics was provided by Foucault and Bakhtin who were introduced in the study. As an effort to probe the outside of discourse, the study is briefed 'the three attributes of discourse' that were suggested by Foucault First, discourse has the principle of selection and exclusion, which is based on power relations. Second, discourse is not transparent at all since it is always offensive towards other discourses and defensive against selected ones Third, discourse which is naturally accepted because of its dailiness had a deep structure secretly hidden in it.
    Based on the above attributes, Foucault and Bakhtin paid their attention to the outside of discourse. Specifically, they considered discourse fundamentally and went beyond it, and reflected the procedures of discourse. This study focused on 'Socrates', something common in the two scholars' works with discourse. In dealing with discourse, Bakhtin started with 'Socratic dialogue' that is based on the dialogic nature of human thoughts which purse the truth. For Foucault, it was Socrates who had the 'courage to tell the truth' and practiced 'self-consideration'. According to Foucault, the ethics of self-practice originated from the philosopher. The ethics is neither the precis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life that is withdrawn towards the inner self, nor the skills of happiness. It is just relational and cross-sectional.
    For a better understanding, this study pointed out that Kafka created a variety of 'dialogic voices' focusing on the outside of discourse. Dialogues found in his writings are 'interminable dialogues' that truly 'communicate with different times and different spaces'. For example, his novel, 'Der Prozess' opens the possibility of discussing in various ways the court which is look beyond conventions and extraordinary. Kafka's novels have a structure that their starting point found at the introduction reappears at the termination, presenting multi-vocal dialog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