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딜란 토마스의 생명예찬가 (Dylan Thomas’s Ode to Lif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6.03
19P 미리보기
딜란 토마스의 생명예찬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48호 / 47 ~ 65페이지
    · 저자명 : 윤석임

    초록

    이 논문은 20세기 중반 영국의 대중시인이자 웨일즈 출신 음유시인으로서 20세기 영미 모더니스트 작가들과는 색다른 행보를 보였던 딜란 토마스(Dylan Thomas, 1914-1953)의 시편들에 대한 연구이다. 토마스는 시와 산문을 통해 현세의 지상의 아름다움을 찬양했으며 역동적 생명력으로 가득 찬 세계를 세상에 알리는 것을 소명으로 삼고 영원한 생명 예찬가로 독자들의 머리보다는 가슴을 공명시킨다. 토마스는 생명에 대한 지칠 줄 모르는 믿음에서 탄생한 낙관주의를 바탕으로 생명의 재생작업을 보여준다. 행마다 살아있는 호흡을 통하여, 역동적 힘이 내포된 어휘를 통하여, 더 나아가 순환적 구조의 형식을 통해 살아있는 시를 선보인다.
    토마스는 초기와 중기 시에서 주로 죽음에 초점을 맞추고 죽음을 삶의 순환과정의 일부로 긍정적으로 수용할 것을 주장한 반면 후기 시에서는 삶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춘다. 삶의 시작이 죽음으로 가는 길이 아니라 죽음이 새로운 탄생의 시작임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영원한 생명이 보장되었을 뿐 아니라 영주처럼 군림했던 에덴동산에서 쫓겨나게 되고 죽음과 고통을 알게 되기 전으로의 회귀를 희망한다. 다시 말해서, 인간이 필멸의 존재로 시간의 째깍거림에 두려움을 느끼기 전인 초시간적인 생명의 세계의 부활을 꿈꾼다. 결국, 영원한 생명 혹은 삶의 긍정을 위해 죽음을 일평생 탐구한 토마스는 생(生)의 찬미자였다.

    영어초록

    In 2014, Dylan Thomas, a Welsh poet and writer, attracted public attention again as the poet of the impressively and beautifully recited poem,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in a movie, Interstellar(2014). The poem fortifies one of the movie’s themes that mankind must strive harder in the face of difficulties and desperation, and fight against the death of its species. This paper shows Dylan Thomas’s overcoming fear of death in his poetry and examines his attempt to celebrate interminable cycle of life. Thomas is a master of capturing dynamic changes of aspects of life in his poetry. He even understands that death leads to renewed life and creation of life. Eventually, he draws analogies between life and death and reveals the eternal cycle of life, death, and resurrection. Thomas’s poetry is dynamic, vibrant and alive and praises the miracle of life in perpetual cyclic processes. It is aimed at recovering our dignity as human beings by freeing ourselves from spatial and time restraints and leading us to a new “Heaven that never was / Nor will be e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