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구 성과를 통해 본『사서율곡언해』의의와 과제 (A Brief Review on the studies of Yulgok's annotation of the Four Book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08.12
17P 미리보기
연구 성과를 통해 본『사서율곡언해』의의와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17권 / 179 ~ 195페이지
    · 저자명 : 유영희

    초록

    본고는 『관본사서언해』와 『사서율곡언해』를 비교한 최근의 논문 성과를 검토한 것이다. 언해는 왕족과 사대부 자제들을 교육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인데, 정부 관리가 되기 위한 시험에도 사용되었다. 관본은 1590년 간행되었고, 여러 차례 중간되어 널리 유통되었다. 그러나 율곡본은 관본보다 먼저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1749년 처음 간행되어 널리 전파되지 못하였다.
    몇몇 국어학자들은 두 판본 사이에 문법이나 어휘에 다소 차이가 있을 뿐, 이념적이거나 정치적인 차이가 별로 없다고 한다. 반면, 몇몇 역사학자들은 두 판본 간에 당시 정파에 포함된 정치적 입장의 차이가 있다고 한다. 당대 논란이 많았던 대학의 격물 물격의 해석을 분석해보면, 두 판본 간에 심각한 차이는 발견하기 어렵다.
    박세채는 관본이 평이하고 정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고 생각해서 율곡본을 손보아 간행하려 했지만 이루지 못하였다.
    율곡본은 조선 시대에 널리 유포되지는 못했지만, 관본 못지않은 중요한 업적이다. 그것은 한국 유학사의 뛰어난 유산으로서 율곡본에 대한 연구를 좀 더 정밀하게 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is to review the recent studie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fficial edition(官本四書諺解) and Yulgok Lee I(李珥, 1536~1584)'s private edition(四書栗谷諺解) of the annotations of the Four Books(四書). The annotations seemed to be edited and published to educate the students of the literary class people including the royal family, which were also used to examine those who will be the government officials. The official edition was published firstly in 1590, republished many times and spread widely to be a popular one. But Yulgok's edition was published firstly in 1749 and spread not much, though it was completed earlier.
    Some remarkable scholars of the Korean linguistics indicated there are not muc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ditions especially in ideological or political sense, but some differences in grammatical or wording aspects. However some historians used to say the two edition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itors who were involved in two main schools at that time, which reflects their political disposition. Examining the two annotations generally and focussing on the famous phrase Gyeokmul(格物) Mulgyeok(物格) of Daehak(大學) which was a great philosophical topic at that time, we can not find any profou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ditions. Park Sechae, a famous Neo-confucian scholar in 17th century, expressed his preference to Yulgok's edition which he tried to edit perfectly and publish but to fail. He criticized the official edition because of the plainness and the uncertainty in scholarly sense.
    Though Yulgok's edition was not so popular and recognized much in Choseon dynasty, it was not so different from the official edition and as excellent as the latter. It also was one of the most brilliant cultural heritage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We need to study carefully and estimate the value of the Yulgok's edition prope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