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자인 씽킹을 기반으로 저시력자를 고려한 UX 디자인 프로세스의 역할에 관한 고찰 -외국어 학습 애플리케이션에서 가독성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e of the UX Design Process in Design Thinking for the Low vision -Focusing on Readability Case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Application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0.12
15P 미리보기
디자인 씽킹을 기반으로 저시력자를 고려한 UX 디자인 프로세스의 역할에 관한 고찰 -외국어 학습 애플리케이션에서 가독성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8권 / 5호 / 139 ~ 153페이지
    · 저자명 : 민재연, 김숙연

    초록

    디지털 시대를 맞아 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현대사회가 변화하고 있다. 유통, 공공사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과 물리적 세계의 융합이 이뤄질전망이다. 특히 교육현장은 기술을 접목해 디지털 혁명을 통한 다양한 디지털 교육 응용프로그램을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저시력자는 웹과 모바일과 같은 디지털 환경의 주요 사용자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래서모바일 환경에서 콘텐츠나 텍스트를 인식하기 어려워디지털 격차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UX 디자인이 저시력 사용자를 배제한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UX 디자인 프로세스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것으로 시작됐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학적 관점에서디자인 씽킹을 바탕으로 저시력자의 가독성을 고려한UX 디자인 프로세스의 역할을 논하는 것이다. 따라서본 논문은 기존의 웹 접근성과 선행 연구를 통해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한 후, 디자인 씽킹을 바탕으로 보완된 UX 디자인 프로세스의역할에 대한 검토를 제안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디자인 씽킹을 바탕으로 모바일 환경에서 저시력자를 이해할 수 있는 범위와 가능성을 확대했다.
    둘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응용 사례와 보고 사례비교 분석을 통해 저시력자가 경험한 문제를 도출했다.
    셋째, 디자인 씽킹과 UX 디자인 프로세스의 융합은인문학적 관점을 통해 UX 프로세스에 저시력 사용자가 포함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융합적 접근 방식을 통해 저시력자의 가독성을 고려해 UX 디자인 프로세스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In the face of digital era, modern society is changing with the emer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predicted that convergence of digital and physical worlds will take place in various fields such as distribution, public works, and education. In particular, the field of education is releasing a variety of digital educational applications through a digital revolution by combining technology.
    However, people with low vision are not considered as major users of digital environments such as the web and mobile. So, they have a hard time recognizing contents or texts in their mobile environment, thus resulting in digital gaps.
    This study began with discussing the role of the UX design process, raising the issue that the UX design offered in mobile applications excludes users with low v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ole of the UX design process,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readability of people with low vision, based on design thinking from humanistic perspective. Hence,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learning application and draw up problems through existing web accessibility and prior studies, and then to propose a review on the role of the complemented UX design process based on design thinking.
    The results and conten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from the humanistic perspective, this paper expanded the scope and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people with low vision in the mobile environment.
    Seco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ases of applications and reports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e problems experienced by low vision people were derived.
    Third, the convergence of design thinking and UX design processe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UX process could include users with low vision through the humanistic perspective.
    Based on thes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UX design process expands by considering the readability of people with low vision through a converged approach in applications in various fie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