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열녀 유서에 나타난 감정 규범과 감정 통제의 기제 - 신씨부 유서에 나타난 순응과 위반의 감정 언어를 중심으로 (A Mechanism of Emotional Norms and Emotional Control on Chaste Women’s Suicide Note - A focused on emotional language of adaptation and violation on the suicide note of the Shin Family’s daughter-in-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9.12
30P 미리보기
열녀 유서에 나타난 감정 규범과 감정 통제의 기제 - 신씨부 유서에 나타난 순응과 위반의 감정 언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39호 / 71 ~ 100페이지
    · 저자명 : 홍인숙

    초록

    이 글은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감정 문화의 배경을 짚어보면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순응하며 쓰인 열녀의 유서에 담긴 감정의 논리와 의도, 그 의미와 가치를 분석하고자 했다. 그 대상은 신씨 가문의 한 며느리(申氏婦/愼氏婦/辛氏婦)가 남편을 따라 죽으려 하면서 남긴 한글 유서 4통이다. 조선시대 여성에게 권장되었던 감정 규범은 ‘순종과 온화함(順與和)’이며, 자기 뜻대로 하지 않고 남을 ‘따르고 순응하는 것(從)’이었다. ‘열(烈)’은 남편을 따라가는 순종의 극단인데, 그러한 열행의 실천을 앞두고 쓰인 신씨부의 유서는 조선후기 여성에 대한 감정 규범을 ‘순응하며 위반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신씨부가 남긴 유서 4통 중에서 우선 친정 식구들인 ‘양자 내외, 딸 내외, 친정 오빠 내외’를 대상으로 쓴 유서 3통에서 ‘관계성에 따라 정교하게 조율된 감정’을 드러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는 각각 유서를 받을 상대의 처지를 고려하고, 작자가 그 대상과 맺고 있는 관계의 깊이와 성격을 세심하게 배려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조율하는 이성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시부모에게 남긴 유서 1통에서 ‘강렬하게 응축된 분노 감정’이 드러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분노 감정은 원래 위계적이며 젠더화된 감정이며, 특히 여성의 분노는 ‘편성(偏性)’으로 지목되는 비난의 대상이었다. 신씨부는 유서에서 시어른을 상대로 ‘원통함, 섭사옴, 속석님, 속이 타 흉악함’ 등의 감정을 거침없이 표현한다. 이는 조선 사회의 주요한 규범인 효에 배치(背馳)될 뿐 아니라 당대의 감정 규율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감정이다. 본고는 신씨부의 이러한 분노 감정이 표면적으로 시부라는 개인을 향하고 있지만, 나아가 죽음을 눈앞에 둔 한 여성이 자신이 마주하고 있는 상황의 불합리성에 대한 분노를 내포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개별자로서의 인간은 사회의 규범적 가치에 순응할 수밖에 없지만 그것이 일방적이고 폭력적이라는 감정을 느끼고 표현할 수는 있다. 본고는 신씨부 유서를 통해 열이라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순응하는 행위로서의 죽음을 앞두고 쓴 열녀 유서가 오히려 체제에 도전하는 전복적 에너지를 내장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otional language of chaste woman’s suicide note and examine its meaning and valu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o emotional background of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also to inquire into the woman’s deep and complex mentality who is obedient to the Yeal ideology seemingly.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recommended emotional norm for women was “Obeisance”. ‘Chaste (Yeol)’ is an extreme obedience to die with her husband. A suicide note left by a daughter-in-law of the Shin family was written with a determination to follow her husband in his death, and it was featured that “following but violating” the rules of emotional norm forced to wome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ree of the four suicide notes left by the Shin family's daughter-in-law were left to her maiden homes’ family "her adapted son and his wife, daughter and her husband, and her brother’s and his wife. In here, the writer showed prudence and thoughtful affection, considered the situation of recipients of her suicide note first. She also showed that adjusting her feelings by considering the depth of the relationship without pouring her sadness and bitterness out first.
    On the contrary, the other note left to her parents-in-law revealed her condensed emotion of anger. An anger is the emotion originally hiararchical and gendered. Especially woman’s anger is regarded as the emotion negative and blameful. It was because she protested that it was all her parents in-laws’ fault and not her own while explaining why she had to died years later than her husband in the note. However, these anger emotions offended against the filial piety, that is the main value of Joseon society, and the emotional norm of women in the Joseon Dynasty. In that sense, her suicide note. especially among the chaste women’s suicide notes, showed very rare and unique emotional depth.
    People have no choice but to obey the norm of the society as an individual, however they can feel and express their outspoken emotion that is unjust and violent. In this article, her anger is an important background emotion of the suicide note. The expression of the woman’s anger was suppressed socially, but she couldn’t hide and showed it in her last writing called a suicide note. It was an unconscious anger on the irrationality and violence of the chastity ideology that forced to die with her the husband. Through this analysis, this article found that the female subject, the chaste women, showed her emotional energy against social order rather than conforming to patriarchal id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