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노경과 김정희 한글편지에 나타난 경주김씨가의 유배 가족 지원 양상 (Aspects of support for exiled families of the Gyeongju Kim family in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Korean letters of Kim No-kyung and Kim Jeong-he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4.08
38P 미리보기
김노경과 김정희 한글편지에 나타난 경주김씨가의 유배 가족 지원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청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청계사학 / 28권 / 237 ~ 274페이지
    · 저자명 : 이현주

    초록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서화가로 유명한 추사 김정희와 그의 생부인 김노경은 19세기 중반에 10년의 시차를 두고 유배 생활을 하였다. 이들은 모두 이 유배 중에 한글 편지를 남겼다. 김노경은 유배지 고금도에서 그의 며느리 및 서녀들에게 12건의 한글편지를 보냈고, 김정희는 제주도에서 그의 아내와 며느리에게 21건의 한글편지를 보냈다. 이들은 이 편지들을 통해 집안의 대소사를 챙기고 가족들의 안부를 묻고 또 유배지에서 필요한 물품들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들이 남긴 한글편지를 대상으로 19세기 최고의 권세를 누리던 경주김씨가에서 유배생활을 하게 된 가족구성원을 어떻게 물리적으로 지원했는지를 구체적인 물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김노경과 김정희의 유배 생활 중 경주김씨가의 인적 지원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편지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살펴보았다. 편지에서 거론된 인물들은 직간접적으로 이들의 유배 생활을 지원하는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김노경의 세 아들은 아버지의 유배지인 고금도에 가서 번갈아가며 부친을 시봉하였음을 확인했다. 김정희는 서자 상우가 제주도에 잠시 머물며 아버지를 시봉한 기록이 있었다. 유배기간 내내 유배지에 상주하며 김노경과 김정희를 시중든 사람은 경주김씨가의 노복들이었다.
    김노경과 김정희는 유배지에서 필요한 의복 및 식품을 예산 경주김씨가에서 지원받았다. 경주김씨가는 계절에 맞는 옷들을 유배지로 보냈고, 유배지에서 입은 옷들은 다시 세탁이나 수선을 목적으로 수거했다. 경주김씨가는 다양한 식품들을 유배지에 지원했는데, 김노경은 여름 음식으로 북어, 가자미, 새우젓과 같이 저장이 용이한 생선류와 겨울 음식으로는 마른 버섯류와 마른 우거지류를 지원받았다. 김정희도 예산 경주김씨가에서 철따라 다양한 식품들을 지원받았는데 계절에 관계없이 가장 많이 지원받은 식품은 김치, 민어, 진장, 젓무이었다. 이 식품들이 김정희가 계절에 상관없이 애용하던 식품들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Chusa Kim Jeong-hee, a famous Silhak scholar and calligraph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is father, Kim No-gyeong, lived in exile 10 years apart in the mid-19th century. They all left Korean letters while in exile. Kim No-gyeong sent 12 Korean letters to his daughter-in-law and illegitimate daughters from Gogeum Island, where he was exiled, and Kim Jeong-hee sent 21 Korean letters to his wife and daughter-in-law from Jeju Island. Through these letters, they took care of the family's affairs, inquired about their family's well-being, and also requested supplies needed in exile.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Korean letters they left behind and looked at specific items to see how the Gyeongju Kim family, which enjoyed the most power in the 19th century, physically supported family members who were in exile.
    In the Korean letters sent by Kim No-gyeong and Kim Jeong-hee from their place of exile, the family members of the Gyeongju Kim family and servants belonging to the family appear. It can be assumed that these people mentioned in the letter played a role in directly or indirectly supporting their exile. It was confirmed that Kim No-gyeong's three sons went to Gogeumdo, their father's place of exile, and took turns serving their father. There is a record that Kim Jeong-hee's illegitimate son, Sang-woo, stayed in Jeju Island and served his father. In the Gyeongju Kim family, the people who directly served Kim Jeong-hee throughout the period of exile were servants.
    Kim No-gyeong and Kim Jeong-hee received support from the Gyeongju Kim family with the clothing and food they needed while in exile. Clothes appropriate for the season were sent to the place of exile, and clothes worn at the place of exile were sent back to the Gyeongju Kim family for washing or repair. The Gyeongju Kim family provided various foods to the exile. Kim No-gyeong received support of fish that are easy to store, such as dried pollack, flounder, and salted shrimp, as summer food, and dried mushrooms and dried vegetables as winter food. Kim Jeong-hee also received a variety of foods depending on the season from his family, and the foods she received most regardless of the season were kimchi, croaker, soy, and salted radish. It can be seen that these are the foods that Kim Jeong-hee loved regardless of the sea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계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