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영광 연안김씨가의 농업경영과 자본전환의 모색 (Agricultural Management of Yeonan Kim Clan in Colonial Choseon)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6.11
56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영광 연안김씨가의 농업경영과 자본전환의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60호 / 95 ~ 150페이지
    · 저자명 : 허원영

    초록

    전라남도 영광지역에 400여 년간 세거 해 온 연안김씨가는 일제강점기 이전에 이미 활발한 경제활동을 통하여 대지주로서의 경제적 기반을 보유하였다. 당시 토지의 매득과 소작경영, 그리고 식리활동을 바탕으로 한 한말 연안김씨가의 경제활동은 조선후기 양반지주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동시에 연안김씨가는 관료이자 지역 유지로서의 신분적 배경을 지녔음에도 경제외적 강제를 통한 경제활동은 두드러지지 않으며, 철저한 경제적 계약과 그 실현을 통한 경제활동에서는 이미 근대지주로서의 속성과 전망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근대적 속성은, 일제강점기 연안김씨가의 경제활동을 통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되어 갔다.
    근대적 속성을 지닌 양반지주로서 연안김씨가에게 있어 일제강점기는 정치, 사회적인 위기의 시기였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위기이자 동시에 또 다른 전환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의 시기이기도 하였다. 연안김씨가는 일제강점기에도 기본적으로 지주로서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그 위에서 자본의 확충과 상업자본의 전환 등을 도모해 나갔다.
    일제강점기에도 연안김씨가의 토지매매는 상당히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때로는 대규모 거래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확인할 수 있는 경우만 278건의 15만원 정도의 거래가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졌다. 이러한 거래에는 사실상 상속과 증여에 해당하는 가구성원 간의 거래가 존재하며, 실거래가를 낮추어 계약하는 이른바 ‘다운계약서 작성’의 모습도 관찰된다. 또한 토지를 담보로 금전이나 곡식을 대여하고, 상환이 이루어지지 못했을 때 담보인 토지를 대신 취득하는 ‘유질계약’의 경우도 다수가 존재하였다.
    연안김씨가의 농업경영은 기본적으로 소작경영을 기본으로 하였고, 소작인에게 수취한 소작료는 경제활동의 기본 자산이었다. 1930년대 연안김씨가는 산지를 포함하여 최소 55만평 이상의 토지를 소유하였다. 전답과 대지만 해도 14만 3천평을 넘어서고 있었고, 한 해 소출이 3천여 석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획득한 곡식들은 대규모로 일본인과의 거래되어 자본화되었으며, 연안김씨가는 지주자본가로서의 지위를 성숙시켜 나갔다.
    1920년을 전후한 무렵부터 연안김씨가는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조선식산은행으로부터 대규모의 부동산담보대출을 받고 있었으며, 다른 한 편으로는 대규모 토지방매를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었다. 예전에는 보이지 않던 이와 같은 대규모 토지거래는 비슷한 시기 상업자본으로의 진출 모색과 함께 진행되고 있었다. 따라서 상업회사 투자를 위해, 또는 그 정리를 위하여 이와 같은 대규모 토지거래 및 대출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 연안김씨가는 지주로서 토지자본을 바탕으로 상업자본 진출을 적극적으로 도모하였다. 1919년 창립된 제주물산주식회사에 참여한 것을 시작으로, 1920년 호남물산주식회사의 창립, 1922년 전남진흥관의 창립과 합명회사 정읍상업조합의 창립 참여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 연안김씨가의 상업자본 진출은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고, 많은 손실과 소송을 야기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연안김씨가는 기본적으로는 전시대로부터의 지주적 지위에 기반하고 있었으나, 이 시기 들어 상업자본으로의 적극적 진화를 도모해 나갔다. 그러나 대지주로서의 지위와 자본력으로도 그 변화는 쉽지 않았다. 이와 같은 일제강점기 연안김씨가의 경제활동은 전통적인 양반지주로서의 정체성을 넘어서 근대적 지주자본, 나아가 상업자본으로의 변환을 적극적으로 도모하는 사례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Yeonan Kim clan having resided in Younggwang Jeollanam-do for about 400 years established financial foundation engaging in that much lively economic activities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rule. It accumulated wealth from aggressive purchase land, landowner management and profit making activities like Yangban landowner in late choseon. It carried on economic activities under economic contract rather than non-economic compulsion, and it showed what a modern landowner really is.
    Under Japanese rule Yeonan Kim clan went through a social and political crisis but it turned this crisis into an opportunity to seek new directions in economic development. It expanded capital and raised commercial capital based on its status as local worthies. During this time, it dealt in land on a large scale up to 278 contracts worth 150000 won . It made a contract among family members such as inheritance and gift. It made a contract to lower prices . It made a contract for foreclosure by lending money or grain holding a mortgage on land .
    It managed agriculture mainly giving land for tenant farming . In the 1930s, it owned 5500000 pyeong of land at least. It is thought to have 143000 pyeong of farmland and site and to make rice crop up to 3000 seok. It made a capitalize by dealing in crop with the Japanese.
    Since around 1920, it had the loan on real estate from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and Choseon Siksan Bank on a large scale and it tried consistently a large scale land sale , which is done in an effort to form commercial capital . At this time, it actively entered into commercial capital ; it took part in Jeju Produce Development Company in 1919, it launched a Honam Produce Development Company in 1920 and it founded Jeonnam Promotion Bureau and Jeongeup Trade Association in 1922. Notwithstanding many efforts to enter into commercial capital , it suffered a loss and was facing a lawsuit.
    Based on a status as landowner it made actively progress towards commercial capital. To sum up, economic activity of Yeonan Kim clan in Younggwang in Colonial Choseon shows a case to make progressive advance in traditional Yangban landowner, modern land capital and commercial capital pa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