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복장 직물과 왕비 유씨 저고리 고찰 (A Study on the Cloths and Queen Yu’s Jeogori from Wooden Statue of Buddha in Temple of Sunchal)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7.03
40P 미리보기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복장 직물과 왕비 유씨 저고리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67호 / 39 ~ 78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박윤미

    초록

    경상북도 안동시 仙刹寺 木造釋迦如來坐像은 높이 42㎝의 結跏趺坐한 소형 불상이었는데 발원문과 저고리 외에, 후령통, 다라니 등의 복장유물이 수습되었다.
    복장 발원문과 왕비 유씨(광해군 부인 유씨, 1576- 1623)의 저고리를 실견ㆍ조사한 결과, 1622년 5월 26일에 봉안되었다는 사실과 복장 저고리의 안깃 안감 쪽에 기록된 ‘丙子生王妃柳氏命衣’라는 묵서 9자를 통해 왕비 유씨의 장수를 기원한 불사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들이 조사한 복장물에서는 네 종류의 직물이 확인되었다. 발원문은 남색 紬였으며 저고리는 길에 청색 無紋綾을 사용하였고, 소매ㆍ무ㆍ깃ㆍ섶ㆍ겉고름에는 紫色 吐紬를, 안고름에는 청록색 주, 그리고 끝동에 청색 鳳花紋段을 사용하였다. 현재까지 조사ㆍ보고된 직물 유물 가운데 색상을 확인할 수 있는 토주가 수 점에 불과하므로 저고리의 소매와 무에 사용된 자색 토주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크다.
    선찰사의 왕비 유씨 저고리는 佛事를 위해 새로 제작하여 복장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뒷길이는 49cm이고, 앞길이 50cm, 화장 72cm, 뒷품 51cm이다. 저고리는 길이에 근거하여 ‘短赤古里’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색상의 조합에 의하면 ‘回粧赤古里’로도 명명할 수 있다.
    이 저고리는 전형적인 조선시대의 저고리 구성 방식으로 완성되었다. 즉 겉감과 안감을 각각 저고리로 완성한 후 거죽이 맞닿도록 겹쳐 놓은 상태에서 좌우 수구를 박고 겉깃 가장자리부터 겉섶, 도련, 안섶, 안깃 가장자리를 박아 고대 부분에 남겨둔 창구멍으로 뒤집어 완성하였다. 깃에는 풀솜을 얇게 두었으며 고운 홈질로 0.5cm 너비의 가장자리 장식선을 만들었다. 저고리 가장자리에는 5∼7cm 들어온 지점에 세 땀 상침을 하여 안팎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켰다. 특히 도련 부분의 시접은 2cm 내외의 너비로 균일하게 잘라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선찰사 저고리와 관련 있는 4점의 여자 상의류를 살펴보았는데 선찰사 왕비 유씨의 저고리가 더 좋은 소재로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색상도 더 다채로웠다. 그러나 왕비와 상궁 저고리의 형태에는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해에 복장된 상의임에도 불구하고 당의형 저고리 두 점은 모두 당코목판깃임에 반하여 왕비와 상궁의 단저고리는 모두 목판깃이었다. 따라서 안에 입는 단저고리보다 겉에 입는 당의형 저고리가 새로운 유행을 더 빨리 수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As a result of the study on BokJang BalWon Memo(腹藏發願文) and Queen Yu’s (Gwanghaegun’ wife, 1576-1623) from the Wooden Statue of Buddha in Sunchal-sa Temple, Andong city, Gyeong Sang Buk-province, Korea, the BalWon Memo shows that the statue was installed on May 26, 1622 and the owner of the Jeogori is Queen Yu revealed from the 9 letter memo, ‘Byung-Ja-Sang Wang-bi Yu-ssi Myung-yui(丙子生王妃柳氏命衣)’, found inside the inner sup of the Jeogori.
    The study also reveals that the cloths can be classified largely into 4 groups : light blue Ju(紬) for Balwon Memo, blue twill damask with no-pattern(無紋綾) for bodice of jeogori, purple To-Ju((吐紬) for sleeve’s end, gussets, collar, sup, fastening strings, greenish blue Ju(紬), and blue satin damask with phenix and floral pattern on the end of sleeve. Note that the purple To-Ju(吐紬) can be considered as a valuable historical material because it is very rare to identify the colors of To-Ju found so far.
    The Queen Yu’s jeogori is inferred as a newly made clothes or one of her clothes for the statue enshrinement. We propose the name of jeogori as Dan-jeogori(短赤古里) for its length or HoeJang-Jeogori(回粧赤古里) for its special combination of colors. The jeogori has the following specifications on various lengths: 49cm in back length, 50cm in front length, 72 cm in Hwa-jang, and 51cm in back width. The way how the jeogori was constructed follows the typical jeogori construction method of Joseon Dynasty period.
    This study also reports on 4 outer garments for women related with the jeogori of Temple of Sunchal-sa. While the Queen Yu’s jeogori uses higher quality textiles with various colors when compared with others, the jeogori of the Queen and court ladies uses the same purple color and has the same shape. Even though these are from the same period, the two Jang-jeogori are with Dangko-mokpan collar while the Dan-jeogori of the Queen and court ladies are with mokpan collar. We may make a conjecture that the outer wear, Jang-jeogori, accepts the new trend in collar while the inner ware, Dan-jeogori, does not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