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事審官 仁州李氏와 인천지역사회 (Sasimgwan(事審官) Inju Lee and Community in Incheon of Goryo Dynas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3.08
36P 미리보기
고려시대 事審官 仁州李氏와 인천지역사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천학연구 / 1권 / 19호 / 193 ~ 228페이지
    · 저자명 : 박은경

    초록

    仁州李氏는 고려 귀족사회의 최고의 門閥이자 대표적인 왕실 외척으로서 권력의 최정상에 있었다. 때문에 그동안 인주이씨에 대해서는 주로 중앙의 권력으로서만 파악하여 왔다. 하지만 인주이씨는 중앙의 귀족일 뿐만 아니라 인천지역사회와도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세력이었던 만큼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려시대의 귀족의 대부분은 신라말 새로운 사회세력으로 대두한 豪族에서 기원하는 세력으로서, 이들은 자신의 族的, 경제적, 사회적 기반을 지방사회에 두고 있었다. 고려초 고려정부는 사심관제도를 통하여 호족들이 자신의 출신근거지에 대해 지니고 있던 영향력에 바탕을 둔 간접통치의 방식을 취하였다. 그리고 사심관제도는 호족들이 중앙으로 진출하여 중앙귀족이 된 이후에도 이어지며 고려후기까지 지속되었다. 이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고려시대 귀족의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귀족인 인주이씨 역시 신라말 인천을 기반으로 성장한 호족출신으로서 중앙으로 진출한 이후에도 자신의 세력기반인 인천지역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련은 사심관으로서의 역할로 이어졌다.
    태조대 사심관이 성립되며 인천지역사회의 중심세력이었던 사심관 인주이씨의 위치는 이후 성종, 현종대를 거치면서도 계속 이어졌다. 현종대에 자리잡게 된 고려시대 군현제의 특징은 주속현체제로서 지방관이 파견된 主縣보다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屬縣이 훨씬 많은 특이한 모습을 띠고 있다. 이는 고려의 군현제가 사심관과 향리 등 지방사회에 기반을 둔 세력에 의한 지방사회의 자율적인 운영에 바탕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현종대 樹州의 속현이었던 인천지역은 수주의 행정적인 관할하에 있기는 하였으나 실제적인 그 내부의 운영에 있어서는 사심관 인주이씨가 향리와 함께 핵심적인 위치를 담당하였다.
    숙종대에 들어서 인천지역은 지방관이 파견되며 고려정부에 의한 직접 지배로의 변화가 나타난다. 하지만 이당시 인천지역이 主縣인 慶源郡으로의 승격한 것은 행정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숙종의 어머니인 인예태후 이씨의 내향이기 때문이었으니, 왕실외척이었던 인주이씨의 위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후 고려말까지 계속되는 인천지역의 승격 역시 인주이씨와의 관련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숙종대 이후 고려말에 이르기까지 사심관 인주이씨의 인천지역의 중심세력으로서의 위상은 계속 이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사심관 인주이씨는 인천지역사회에서 ‘宗主人民’ ‘甄別流品’ ‘均平賦役’ ‘表正風俗’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첫 번째 역할인 ‘宗主人民’은 인주이씨의 인천지역 중심으로서의 위치를 보여주며, 두 번째의 역할인 ‘甄別流品’, 즉 流品을 심사하는 것은 인주이씨가 인천지역사회에 대해서 담당했던 사회신분적 역할을 보여준다. 그리고 세 번째의 역할인 ‘均平賦役’, 즉 부역을 균평히 한 것은 인주이씨가 인천지역사회에 대해 담당했던 경제적 역할을 보여주며, 네 번째의 역할인 ‘表正風俗’, 즉 풍속을 바로잡는 것은 인주이씨가 인천지역사회에 대해 담당했던 향촌사회질서 유지의 역할을 보여준다.
    사심관 인주이씨는 인천지역사회의 최고의 망족으로서 인천지역사회와 긴밀한 유대감을 지니며 존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를 바탕으로 하여 인천지역사회에서 사회·신분적 역할, 경제적 역할, 향촌사회질서 유지의 역할 등 인천지역사회 운영 전반에 걸친 역할을 담당하였으니 인주이씨는 인천지역사회와 실제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세력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Inju Lee was the highest Munbeol(門閥) in aristocratic society of Goryo. As representative maternal relatives of royal family in aristocratic society of Goryo, Inju Lee was at the summit of power.
    Thus far, Inju Lee was grasped only as central power. However, it is required to note that Inju Lee was not only central aristocracy but power closely related to community in Incheon.
    As the power originating from Hojok(豪族) which emerged as new social power at the end of Shilla, most aristocracy in the age of Koryo had their relative, economic and social base in the local community. As Sasimgwan(事審官) was the highest Mangjok(望族) in the area of ancestral home, Goryo Government indirectly ruled local area through Sasimgwan(事審官).
    As the representative aristocracy in the age of Goryo, Inju Lee was also Hojok(豪族) which grew on the basis of Incheon at the end of Shilla. As such, it was closely related to Incheon, its power base even after it advanced to the center. Then, such relation was connected to the role of Sasimgwan(事審官). Sasimgwan Inju Lee played the role of ‘Jongjuinmin(宗主人民)’ ‘Gyeonbyeolyupum(甄別流品)’ ‘Gyunpyeongbuyeok(均平賦役)’ ‘Pyojeong pungsok(表正風俗)’ in the community in Incheon.
    The 1st role, ‘Jongjuinmin(宗主人民)’ means ‘To become the chief of local people’, showing the position of Inju Lee in Incheon.
    The 2nd role, ‘Gyeonbyeolyupum(甄別流品)’, namely, examining Yupum(流品) shows social role played by Inju Lee in the community in Incheon.
    The 3rd role, ‘Gyunpyeongbuyeok(均平賦役)’, namely, the fair execution of Buyeok(賦役) shows the economic role played by Inju Lee in the community in Incheon.
    The 4th role, ‘Pyojeongpungsok(表正風俗)’, namely, the correction of Pungsok shows the role of Inju Lee to keep the social order of country village in Incheon.
    That is to say, Inju Lee played role in all operation of community in Incheon, being actually related to community in Inch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