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상 시에 나타난 가톨리시즘적 일원론 (The Catholic Monism at the Ku Sang's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4.06
38P 미리보기
구상 시에 나타난 가톨리시즘적 일원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82호 / 129 ~ 166페이지
    · 저자명 : 김재홍

    초록

    구상은 1919년 서울에서 태어나 2004년 작고하였다. 일생을 시인이자 교육자, 언론인으로 살며 한국 현대시사에 가톨리시즘을 바탕으로 한 시적 사유와 형이상학적 존재론, 휴머니티의 실천이라는 시적 변주를 통해 뚜렷한 문학적 성과를 남겼다.
    이러한 구상의 시 세계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다소 빈약한 가운데 최근의 연구 경향은 대체로 문학이론의 내적 방법론에 따라 구조주의 혹은 탈구조주의적 작품 분석에 집중하거나, 윤리의식과 가톨릭 세계관에 주목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응향』 필화 사건이나 「그리스도 폴의 강」, 「밭 일기」 등 주목되는 연작시에 대한 개별적인 접근도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경향은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우선, 구상의 시 세계를 작품론적 관점에서 종합하지 못한 점이다. 둘째,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한국전쟁과 5.16 등 한국현대사의 굴곡을 체험하면서 시인, 교육자, 언론인으로 생활한 그의 삶을 작가론적 관점에서 입체화시키지 못한 점이다. 셋째, 구상의 시적 사유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가톨리시즘과 시적 실천의 제반 양상을 일관된 시적 논리계 안으로 정립시키지 못한 점이다.
    본고는 이상과 같은 연구 흐름을 참조하면서 구상의 시적 사유와 그 변주 양상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그동안 부분적이고 열거주의적인 방식으로 접근한 태도를 벗어나 구상의 시적 사유를 가톨리시즘을 근간으로 한 일원론으로 정리하고, 그 토대 위에서 대긍정을 통한 부활의 의지, 일의적 존재론과 고독의 심화, 휴머니티와 진실의 지향 등이 변주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이를 통해 구상의 내면 풍경과 정신의 경계를 연역해낼 수 있다면, 작품론적 종합과 작가론적 입체화를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보았다.

    영어초록

    Poet Ku Sang was born in Seoul in 1919 and died in 2004. As a poet, educator, and journalist, he left a distinctive literary achievement on Korean contemporary poetry through poetic thought based on Catholicism, metaphysical ontology, and poetic variation of practicing humanity.
    While scholarly approaches to Ku Sang’s poetic world have been meager, recent research trends have generally focused on structuralism or post-structuralism analyses of his works by following the internal methodology of literary theory or on his ethical consciousness and Catholic worldview. There have also been individual approaches to notable serial poems, such as Serious Slip of Pen, 『Eunghyang』, 「The River of Christ Paul」, 「Diary of the Fields」, etc.
    This research trend leaves insufficiency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it fails to synthesize Ku Sang's poetry view from a theory of work. Second, it fails to dimensionalize his life as a poet, educator, and journalist bor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ved through the twists and turns of modern Korean history, including the Korean War, the May 16 coup, etc, from an authorial perspective. Third, it fails to organize Catholicism, which is the source of Ku Sang’s poetic thinking and all aspects of poetic practice, into a coherent poetic logic.
    While this paper refers to the research flow above, it focuses on Ku Sang’s poetic thought and its variations. Moving away from the partial and enumerative approach, this research organizes Ku Sang's poetic thought into a monism based on Catholicism and sees it as a will to revive through great affirmation, the intensification of monolithic ontology and solitude, and a humanity and the direction of truth. If we can deduce the boundaries of the artist's inner landscape and border of mind through this, this paper expects a work-theoric synthesis and an authorial dimensi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