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겹쳐 쓰기된 비가(悲歌)의 언어 : 은폐와 전복의 <무영탑 전설> - 박정만 장편 사설시 <떠오르는 탑>을 중심으로 - (The Overwritten Elegy of Language : The Concealment and Subversion of - focus on of Park, Jung-Man -)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0.10
53P 미리보기
겹쳐 쓰기된 비가(悲歌)의 언어 : 은폐와 전복의 &lt;무영탑 전설&gt; - 박정만 장편 사설시 &lt;떠오르는 탑&g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72호 / 383 ~ 435페이지
    · 저자명 : 이수경

    초록

    박정만 시 <떠오르는 탑>은 『월간문학』에 1987년 4월부터 11월까지 8회 연재된 미완성 장편 사설시이다. 이제까지 <떠오르는 탑>은 전통적 소재 차용이라는 측면에서 박정만 시의 일부분으로만 논의되어왔으나, 본고에서는 <떠오르는 탑>을 시인의 미완성된 작품이라는 시각이 아닌 향유될 하나의 ‘텍스트’라는 불온한 시각에서 현진건 소설 『無影塔』, 신동엽 『아사녀』와 차별성과 동일성에 주목하면서, <무영탑> 설화가 ‘메타텍스트’로 거듭나는 과정에 주목하여, 겹쳐 쓰기를 통한 ‘전설의 변용’이라는 시각에서 내용적, 형식적 특성을 ‘화자와 적층화된 언어인 단형 서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떠오르는 탑>은 『삼국유사』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무영탑 전설>인 불국사의 <華嚴佛國寺古今歷代諸賢繼創記>(1740)와 현진건의 『무영탑』을 잇는 아사달과 아사녀 연애 모티브와 불교예술혼이라는 ‘전통적 화소’를 그 바탕에 깔고, 설화적 화자의 언어적 특성인 적층화된 언어를 통해서 설화적 화소를 삽입 서사로 수용하여 전통 화소의 창조적 형상화로서 박정만 자기동일성의 한 축을 이룬다. 예술혼과 사랑이라는 주제의 <무영탑 전설>이 불교적 예술혼, <무영탑 전설>과 적층화된 언어를 현재화하는 설화 화자를 통해 사랑 특히 그 ‘사랑의 고통’, ‘시쓰기의 고통’이라는 축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겹쳐 쓰기를 통한 형상화가 <떠오르는 탑> 연작시의 문학사적 의의인 동시에 현진건의 『무영탑』과 신동엽의 『아사녀』를 잇는 ‘무영탑 전설’의 창조적 변용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이제까지 『박정만시전집』에 34편만 수록되어 전해졌던 <떠오르는 탑>이 『월간문학』에 37편이 연재되었음을 다시 확인하여, 그동안 누락되었던 작품 3편을 다시 조명하였다. 또한, 박정만 초기 시부터 지속적으로 호명되었던 전통적 화소(話素)가 장편 사설 연작시 <떠오르는 탑>에서는 설화적 화자의 적층화된 언어와 삽입된 단형 서사의 변용을 통해 형상화되었음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Emerging Tower> of Park, Jung-Man, uncompleted and long satire poem, was published serially, 『Month literature』 from 1987.4. to 1987.11. <The Emerging Tower> has been considered as part of Park, Jung-Man’s poems and considered as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narrative unit from Traditional Korean Literature or the reflection of participating poet.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Emerging Tower> of Park, Jung- Man at the point of view as a completed text to the readers instead of uncompleted one, and as a rebellious attitude to the traditional one.
    <The Emerging Tower> of Park, Jung-Man is based on <The Establishment Tale of the Bulguksa Temple(佛國寺)(1740)> on 『The Samgungnyusa(三國遺事)』 and dating motive of Asadal and Asanyeo, and the spirit of art of the novel, 『The Muyeong Tower』, written by Hyun, Jin-Gun. At the same time, 「The Emerging Tower」 is a creative formations made of traditional narrative units from Traditional Korean Literature, and is incarnated with multistory language(積層的 言語) of traditional narrator. In other words, Park, Jung-Man used the traditional dating motive of Asadal and Asanyeo, and the spiritual illumination for the art, was adapted from the novel 『The Muyeong Tower』. He transformed the epitomized theme from ‘love and the spiritual illumination of Buddhism for the art’ to the new theme as ‘the painful agony of love’ itself, which was achieved by the multistory language(積層的 言語) of traditional narrator like Pansori narrator and which was achieved by satire or parody of the multistory languages(積層的 言語) of traditional narrator, and as ‘the painful agony of the treatment of the poetry. With these tricks of poetry, the transpersonal symbolic ones, 「The Emerging Tower」 of Park, Jung-Man is evaluated again as the reflection of self-identity and creative formation of traditional narrative units from Traditional Korean Literature. This makes <The Emerging Tower> of Park, Jung-Man place right spot after 『The Muyeong Tower』 of Hyun, Jin-Gun and 『Asanyeo』 of Shin, Dong-Yeop.
    This article newly finds out that <The Emerging Tower> of Park, Jung-Man is not consisted of 34 poems, but consisted of 37. 3 poems, been isolated and neglected in the study of Park, Jung-Man since 1987, are finally come to light. Also this article makes clear again 「The Emerging Tower」 of Park, Jung-Man is also reflections of self-identity and creative incarnation of traditional narrative units from <The Legend of Muyeong T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