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류세의 글쓰기: 루스 오제키의 『시간 존재를 위한 이야기』에 재현된 환경위기와 해양적 상상력 (Writing the Anthropocene: Environmental Crisis and Oceanic Imaginations in Ruth Ozeki’s A Tale for the Time Being)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3.02
23P 미리보기
인류세의 글쓰기: 루스 오제키의 『시간 존재를 위한 이야기』에 재현된 환경위기와 해양적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과이론 / 28권 / 1호 / 5 ~ 27페이지
    · 저자명 : 강연훤

    초록

    본 연구는 아시아계 미국인 작가인 루스 오제키(Ruth Ozeki)의 세 번째 소설 『시간 존재를 위한 이야기』(A Tale for the Time Being, 2013)를 중심으로 어떻게 인간 사회의 사회구조적 문제와 폭력의 역사가 환경오염과 생태계 위협과 같은 환경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인 서구의 자연관이 인간과 자연이란 이분법적인 인식론에 바탕을 둔 반면 인류세의 도래는 이러한 이항대립적인 서구 계몽주의 인식론의 한계를 선명하게 보여줌과 동시에 인간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인간과 비인간이 함께 하는 세상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종(multispecies)을 위한 새로운 내러티브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기존의 환경 문학연구와 담론이 미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문학 텍스트와 이론, 대지와 인간행위자를 중심으로 한 서사에 치중해왔다면, 오제키는 『시간 존재를 위한 이야기』에서 비인간 대상자인 ‘바다’(the ocean)를 서사의 주요한 행위자로 등장시킴으로써 인류의 역사와 함께, 동시에 그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지구에 존재해온 해양의 역사를 같이 서술함으로써 인간과 비인간이란 경계를 허무는 해체적 글쓰기와 열린 사고를 보여준다. 특히, 오늘날의 환경문제가 특정한 지역, 국가의 범주(nation-state) 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 지구적·초국가적인 범주로 확장되고 있는 사실을 고려할 때, 환경 문학을 통한 다양한 스펙트럼의 인간 사회에 대한 이해와 비인간 주체들에 대한 재고는 인류세를 살아가야 하는 우리에게 필요한 보다 윤리적이고 통섭적인 시각을 제시해준다.

    영어초록

    By situating “transpacific” as a critical space that allows oceanic exchange between Japan and Canada,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human and nonhuman, this essay critically examines how Ozeki’s third novel, A Tale for the Time Being (2013), helps us apprehend “slow violence,” one that is hard to see or feel due to the workings of time and distant locations. While mainstream Anthropocene discourse has tended to focus more on the perspectives of white elites, writers and scientists based in the Global North, Ozeki’s novel draws the reader’s attention to the fluidity of oceanic movements and intentionally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history and environmental history, especially the links between nuclear bombing in Japan during the World War II and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in 2011, in order to emphasize a complex crisis for both human and nonhuman on a planetary scale. Building on what Elizabeth DeLoughrey terms “the oceanic turn” in literatary studies, I argue that Ozeki’s A Tale for the Time Being challenges and works to decolonize the discourses of the Anthropocene and thus invites us to imagine more just and sustainable environmental futures for the more-than-human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과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