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대의 음악을 써내려가다: 식민지조선의 음악비평 역할 (Writing music of the era: a study on the role of music criticism in the Colonial Chosun)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1.12
46P 미리보기
시대의 음악을 써내려가다: 식민지조선의 음악비평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학학회
    · 수록지 정보 : 音.樂.學 / 29권 / 2호 / 41 ~ 86페이지
    · 저자명 : 조윤영

    초록

    한 시대의 음악은 그 시대의 현실을 반영하기에, 음악의 비평사(批評史)를 밝히는 일은 음악 작품뿐 아니라 사회의 전반적인 문화를 음악을 통해 이해할 수있게 해 준다. 특히 일제의 지배를 받고 있던 식민지조선의 음악은 당시에 처한시대적 상황만큼이나 다양한 면모를 고스란히 내포하고 있어 음악비평 연구가더욱 중요하다. 1900년대 초까지 조선에서 의미하는 일반적인 음악이란 풍악이나 연예의 일종으로, 대중과 함께 즐기는 유희의 한 형태였다. 그러나 100여 년 전부터 서구문화와 함께 양악(洋樂)이 우리 문화에 흡수되며 음악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기시작하였다. 지식인들은 자신들이 소개하는 양악이 우리가 본받아야 할 서구의예술 문화임을 강조하며 음악의 지위를 여흥에서 예술로 격상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식민지조선의 음악문화를 양악 중심으로 변화시켰고, 그 결과 서양음악은 주입식 읽는 음악을 통해 교양음악이 되었으며, 조선음악의 지위는 하락하였다. 지식인들은 ‘음악비평가’라는 직함을 달고 대중들의 근대화에 영향을 미쳤던문자 매체에 글을 실어 이국(異國)의 음악과 유명 작곡가들의 명작(名作)들을 접하게 해주었다. 추체험(追體驗)한 대중들은 그렇게 서양음악을 상상했고 간간이삽화의 도움을 받아 양악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도 고정화되었다. 이처럼 음악비평은 비평의 역할뿐 아니라 음악문화 형성에도 의무와 책임을 갖는다. 이 연구를 통해 당시 식민지라는 환경에서 전개된 양악 발전이 현재 서양음악중심의 우리 음악문화도 이해할 수 있기에 양악이 자리 잡는 초기 비평 연구는유의미하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Given music reflects reality of an era, revealing the history of music criticism enables us to understand not only musical works but also their sociocultural contexts.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investigate music criticism of the Colonial Chosun because it implies various aspects of social, political, cultural and educational situations under the Japanese rule.
    Until early 1900s, music was generally considered as a part of entertainment in Chosun. In other words, music was a sort of amusement.
    After all, western music and culture have been absorbed for about 100 years, which further has changed a perception of music in Korea.
    Intellectuals introduced western music as a part of western arts and culture that Koreans ought to follow, which has moved a status of music from an entertainment to an art. As a result, Western music, especially literate music learning by rote, became a class of culture whereas Chosun music was degraded.
    With a title of music critics, intellectuals published their writings on exotic music and famous music by great composers to newspapers and magazines that had strong influence on modernization of the public.
    Following intellectuals experience, people imagined western music and established their stereotypes of western music with few visual illustrations.
    It shows that music criticism is responsible not only for critique but also for an establishment of music culture.
    This study will contributes to better understanding on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reception in the context of the colonial era, which further explains how current music culture in Korea is centered on Western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