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 쓰기의 연계 학습활동 방안 - 이야기 만들기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 - (A Study on Plans for Learning Activities Linked to Writing for College Students - Story making-based writing lessons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5.10
26P 미리보기
대학생 쓰기의 연계 학습활동 방안 - 이야기 만들기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연구 / 43호 / 199 ~ 224페이지
    · 저자명 : 유창민

    초록

    본고는 대학 교양 과정 글쓰기 수업을 보다 실용적이면서 흥미롭고 활기차게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본고의 연구 목적은 첫째, 글쓰기에 대한 흥미 유발 및 수업 참여도 향상, 둘째, 쓰기과정과 표현 과정의 결합을 통한 다양한 표현 방식의 모색, 셋째, 이야기 형식을 통해 세계에 대한 유연한 인식과 인식의 지평 확대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 내세우는 글쓰기 수업 모형은 크게 두 단계로 구분되어 있다. 기본적인 과정 중심 글쓰기 모형을 우선 시행한 후 그것을 활용해 이야기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다시 거치는 과정이다. 앞 단계에서 논설문과 같은 비판 주장형 에세이를 작성한다. 이때 학습자는 주제 선정부터 퇴고하기까지의 과정을 수행하여 각자 한편의 에세이를 작성하게 된다. 이후 학습자는 조별로 하나의 에세이를 선택해서 이를 이야기의 형태로 재구성한다. 교수자의 강의와 학습자 상호간 협력을 통해 학습자는 이야기의 구조 분석, 내재 요소 및 의미 파악, 서사가 지니고 있는 원리를 분석하게 될 것이다. 그런 다음 학습자는 이야기를 재구성하고 미디어와 결합한 새로운 방식으로 표현 방법의 변화를 가한다. 이러한 수업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가 향상되었으며, 학습자는 상호 활동을 통해 협력의 가치를 습득하였다. 또한 작문과 새로운 표현 방식의 결합 과정에서 글쓰기 수업의 활용성을 학습자에게 인지시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학습자는 다양한 표현을 하기 위한 예비 작업으로 글쓰기가 매우 중요한 문제 해결 과정임을 깨닫게 되었다. 고정된 형태의 수업 모형이 아니기에 본 수업 모형은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 적용이 가능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search for ways to give writing lessons as part of the liberal arts courses on the college campus in a more practical, more interesting, and livelier manner. The present study seeks after three major purposes: the first one is to stimulate the students' interest in writing and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classes; the second one is to search for various expressive methods by combining a writing process with an expressive one, thus achieving a practical goal; and the final one is to help the students have a flexible perception of the world and broaden the horizon of their perceptions through the story format.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planning and applying the following writing lesson model, which has two major parts: the basic process-based writing and the reconstruction of it into stories. In the early stage, the students will write critical and argumentative essays like editorial writings, going through the whole process from the selection of a topic to revision. They will get to expand the horizon of their perceptions of the world and write their essays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writing as objectively as possible. The instructor will be able to figure out how the students will approach the current events taking place these days, what interests they have, and how they perceive the world.
    Then the students will select an essay and reorganize it in a story format by the groups. They will analyze the story structures, inherent elements, meanings, and narrative principles through the lectures of the instructor and the mutual cooperation among the learners. They will then move onto giving changes to the expressive methods in new ways in combination with the media after reorganizing a story. Finally they will make a presentation on their stories in a complete form and present them to the world through YouTube.
    Those lesson processes turned out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lessons. They were able to learn the values of cooperation and develop an attitude of reaching the goals together through mutual activities. In addition to those learning effects, they were able to recognize the usability of writing lessons through a system to combine composition with a new expressive method. They realized that writing was a very important problem-solving process as a preliminary operation for diverse expres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