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향자의 역사 다시쓰기 - 최정희의 『인간사』를 중심으로 (A Convert's Rewriting of History -Focusing on the Choi, Jung-Hee's Ingansa(human histo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0.12
32P 미리보기
전향자의 역사 다시쓰기 - 최정희의 『인간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24권 / 24호 / 225 ~ 256페이지
    · 저자명 : 김복순

    초록

    최정희는 해방 전-후 전향을 모두 경험하였을 뿐 아니라, 전향과 관련한내용을 소설로 형상화 하여 전향자의 역사다시쓰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매우 이례적인 경우에 속한다. 남한의 어떤 소설가도 전향의 문제와 전향자의주체형성 문제를 직접 형상화 하지 않았고, 그것의 의미화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남한사회의 복잡성, 주체의 부정성, 생존의 문제 등을 포함한 뜨거운 감자였기 때문인데, 『인간사』는 이러한 문제를 직접 의미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 볼 필요가 있었다.
    이 소설은 사회주의 운동-친일-반공주체로의 전향으로 이어지는 식민지지식인의 삶을 통해 전향의 역사적 불가항력성을 설파하고, 더 나아가서는 4·19를 전유하여 반공주의 사회에서의 역사의 주체화를 꾀한 소설이다. 전반부는 운동자들의 후일담 성격의 애정서사에, 후반부는 정치서사에 가까웠다. 이 소설의 문제는 이들 전향자들을 부정적으로 처리하지 않았다는 데 있다.
    친일행위를 ‘무한 포용’과 ‘용서’의 논리인 ‘정 사상’으로 포장하면서 전향의역사적 불가항력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전향자 및 친일자에게 면죄부를 주고있었다. 친일을 시대의 죄로, 사회·국가의 죄로 전가하면서 개인은 무죄임을직접 설파하였다. 더욱이 친일분자를 사회적 갈등 및 사상을 ‘통합’하는 존재,4·19의 주체로까지 형상화 함으로써 태생적 한계인 ‘부정적 기원’을 없애고이 땅 역사의 주체로 재정의하려는 의도를 확인시켰다. 민주(주의)에 대한 성찰을 거의 보여주지 않았다는 점에서 4·19의 성과라 볼 수 없으며, 여주인공인 마채희를 배제함으로써 새로운 사회 만들기 주체는 ‘여성’이 아닌 ‘남성’,‘구세대’가 아닌 홍이, 금아, 민 등의 ‘신세대’임을 강조하였다. .
    이들의 전향은 ‘구복(口腹)’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었는데, ‘구복의 윤리’야말로 전향의 불가항력성을 보장해 주는 강력한 무기로 설명되었다. 구복의 윤리가 ‘생활’을 그려내면서 ‘돌봄’의 아버지라는 새로운 모습을 제시해 준 부분은 눈여겨 볼 만하였다. ‘아버지’를 호명하여 그 의미의 재발견을 이끌어낸 점은 이 소설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최대치였다.
    여주인공 채희는 아내의 역할도, 어머니의 역할도 모두 거부하는 ‘역할 거부자’(role rejector)로 형상화 되었는데, 이러한 채희의 사상성 부재 및 사랑의 노예화, 여성의 주체성 탈각, 여성성의 모성성으로의 환원은 이전 시기에보여 주었던 ‘최정희적 경향’을 부정, 수정하는 것이었다. 독립변수로서의 여성젠더가 배제되고 여성성은 모성성으로 축소 환원되었다. 이는 ‘완전한 어른’개념의 젠더화와 함께, 전향자의 역사다시쓰기의 젠더, 반공주의의 젠더가 남성젠더임을 반증해 주는 것이었다. 이것이 『인간사』가 제시하는 반공주의 사회에서의 주체형성 방식이자 성별 배치였다. 연구결과 『인간사』는 4·19의 성과도, 최정희 문학 30년의 결산도 아니었다.

    영어초록

    The problem of the conversion from a leftist in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 is not connected with only the formation of the social-political subject for anti-communism but it is also related to the nature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in South Korea. Therefore, we need to research the problem very carefully. Choi, Jung-Hee carried out that kind of conversion twice, one was before the Liberation and the other was after it.
    She wrote a novel about the conversion problem and tried her rewriting of histor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rt. It was an unusual case in South Korea. Furthermore Ingansa(human matters) is a novel to strive for the formation of subject for the anti-communist in South Korea and for the historical necessity of conversions by pseudo-communists .
    The first half of the novel has a characteristic of 'love-narrative' to review in a later time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sts of 1930's, and the second half has a characteristic of 'political narrative'. The novel shows us some distinctive facts in South Korea. The first fact is that the social-political subject of South Korea after Liberation was formed by pro-Japanese and anti-communist group. The second one is that the main group to build a new society in South Korea was masculine in gender, and the group was not an old generation but a new generation.
    The heroin, Chae-Hee's being absent from ideology, being enslaved to love, getting rid of female's self-identity, and retrogressing from feminity to motherhood, these things mean the deviation from Choi, Jung-Hee's original orientation. The gender in the convert's rewriting of history in anti-communist society, was mascul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