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사들의 학생 소통 도구로써 마음일기 쓰기 지도 경험에 대한 연구: 지오르지(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A Study on Teachers' Experience to Guide 'Keeping a Mind Diary' as a Communication Tool with Students -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6.06
24P 미리보기
교사들의 학생 소통 도구로써 마음일기 쓰기 지도 경험에 대한 연구: 지오르지(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수록지 정보 : 청소년상담연구 / 24권 / 1호 / 221 ~ 244페이지
    · 저자명 : 장혜진, 오현숙, 최인화

    초록

    본 연구는 일기라는 가장 개인적 영역의 기록 과정을 매개로 하여 마음 살핌 원리를 적용한 글쓰기를 통해 학생들과 소통을 시도한 교사들의 경험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현상에 대한 복잡성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고 그 현상에 따른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에 적합한 질적 접근 방법으로 Giorgi의 심리학적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과정은 지난 6년 동안 적어도 2년 이상 학생들과 학급이나 동아리 또는 수업에서 마음일기를 적용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이 활동을 지속할 의사가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여기서 얻어진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하여 ‘마음 일기를 학생과의 소통 도구로 선택한 교사들의 동기’와 ‘일기 쓰기를 함께 하며 접했던 다양한 경험’ ‘학생들과 교사간에 일어났던 내외적인 변화’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마음일기로학생들과의 소통을 시도한 후 학생들과 지속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 관계가 개선되었으며, 둘째, 소외되거나 문제 행동을 하는 학생들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글쓰기를 매개로하여 학생과 개별적으로 교감할 수 있는 기회를 나눌 수 있었다. 셋째, 교사 자신의 외면과 내면을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 자신의 성장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넷째, 학생들 중 심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던 학생들이 자신의 내면을 살피고 안전하게 표출하는 방식을 스스로 습득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마음일기를 사용한 소통이 교사와 학생 간의 전 인격적인 만남과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학생의 학교생활에 적응력을 높여 문제 상황에 부딪혔을 때도 안전하게 해결해 나가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해나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에게 상담의 보조 도구로써의역할과 더불어 마음을 살피는 자기 성찰 도구로써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experiences of attempting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through diary writing, in which the principle of caring the mind was applied. The study researched the phenomenon by applying Giorgi’s psychological phenomenological methods as an appropriate qualitative approach method to understand its essence and meaning.From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motive of the teachers who chose mind diary as a tool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various experiences obtained from keeping a mind diary together,' and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which occurre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teachers who had the experience of applying mind diary with students in class for two years or more over the past six years and had the intention to continue such activity in the futu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attempting communication with students through mind diar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as improved in a way that enabled them to continue communication. Second, teachers came to understand more deeply students who were isolated or showed problematic behaviors and could have opportunities to individually commune with students. Third,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ng their inner and outer sides, teachers could experience the growth of themselves. Fourth, teachers could find students with psychological problems acquiring on their own the method to examine their inner side and safely express it through the constant use of mind diary.This study found that, despite existing limitations in school conditions, communication using mind diary enables meetings and communication with respec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can help students to learn on their own the method to safely resolve problems by increasing their adaptability to school lif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communication using mind diary will play a role as a self-reflection tool that examines the mind regardless of religion as well a role as a counseling support tool for teachers who were exhausted with demanding tasks and restricted conditions of counse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소년상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