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니체’라는 가면을 쓴 디오니소스, 여성 그리고니체 (Dionysus, Woman and Nietzsche Wearing the Mask of ‘Nietzsche’ in My Sister and I)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5.10
41P 미리보기
‘니체’라는 가면을 쓴 디오니소스, 여성 그리고니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니체학회
    · 수록지 정보 : 니체연구 / 28호 / 7 ~ 47페이지
    · 저자명 : 김선희

    초록

    『니체 자서전 : 나의 여동생과 나』로 중역된 영어 번역본인 My Sister and I 는 자서전 형식을 띠고 있다. 저자는 자신을 니체라고 한다. 그러나 과연 이 텍스트의 저자가 니체인지 아닌지는 여전히 수수께끼이다. 위작의 혐의를 받고 있는 이 자서전에는 역설적이게도 망치와 폭발물을 들고 이론적 인간의 몰락을 부르짖었던 니체의 몰락(Untergang)이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그의 몰락은이중적이다. 즉 그것은 외적 조건으로서 몰락과 그것에 대한 관계 맺기로서 몰락, 즉 세상이 니체에게 준 몰락과 니체가 스스로 취한 삶의 방식으로서의 몰락이다. 그 몰락의 순간은 그 자체로 철학적 사건이다. 과연 니체의 가면을 쓴 니체는 니체 자신보다 얼마나 더 또는 덜 니체적일 수 있을지를 보는 것은 분명히철학적인 문제이자 매우 니체적인 문제이다.
    니체의 가면을 쓴 배우의 저 마지노선을 이루고 있는 금기선은 바로 여성에대한 그의 경험이자 성적 경험이다. 이 텍스트에서 억압태이자 결핍태였던 여성이나 성에 대한 그의 경험은 그를 새로운 삶으로 건네줄 밧줄인 동시에 밧줄을타는 자이며 나아가 그 밧줄 아래 드리운 심연이기도 하다. 여성에 대한 이 니체의 관계 맺기는 부조리 그 자체이다. 니체에게 여성은 자신의 동일성을 확장하거나 창조할 가장 치료적인 매체인 동시에 그것을 축소하거나 파괴할 가장 치명적인 매체로 자리한다.
    이 글에서 논자는 ‘니체라는 가면’의 발생(Entstehung)과 유래(Herkunft)를판독하고자 한다. 이 과정은 무엇보다도 형이상학의 해체를 위하여 철학자 니체가 형이상학에게 사용한 비장의 무기였던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다시 니체 자신에게 사용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논자는 과연 니체는 그 자신이 적에게 행한 그 비판으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그리하여디오니소스적인 것을 구성하고 있는 성이나 여성이 그의 이론이 아니라 그의 삶에서 지니는 위상을 검토하고자 한다. 늘 철학의 영원한 타자였던 본능, 성 그리고 여성은 단지 니체의 이론 속에만 존재할 뿐인지 아니면 그의 삶에서도 당당히긍정되고 있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검토를 통하여 논자는 위작 논란이 되고 있는 이 자서전의 주인공이 왜 니체라는 가면을 필요로 했는지를 되물어봄으로써 21세기에 니체가 지니는 철학적 의미를 재검토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My Sister and I takes on a form of autobiography. The author calls himself Nietzsche. But whether the author of this text is indeed Nietzsche or not is still a mystery. This autobiography suspected of forgery portrays the downfall (Untergang) of Nietzsche who paradoxically cried out the theoretical human collapse with a hammer and explosives. But here his downfall is twofold. That is, it the collapse as an external condition and the collapse as ’making relationship’ thereto, in other words, the collapse the world gave to Nietzsche and the collapse as a method of life which Nietzsche took himself. The moment of collapse is a philosophical incident in itself. To see how Nietzsche wearing the mask of Nietzsche is more or less Nietzschean than Nietzsche himself is clearly a philosophical problem and a very Nietzschean problem.
    The taboo line forming that Maginot Line of the actor wearing Nietzsche’s mask is just his experience toward woman and a sexual experience. His experience toward woman or sex which was suppression form and deficiency form in this text is a rope relaying him to a new life and also a rope acrobat, and further an abyss under a rope. Nietzsche’s relationship-making to woman is absurdity itself.
    Woman to Nietzsche settles itself as the most therapeutic media to extend or create his identity and also the most deadly media to reduce or destroy it.
    In this thesis, this writer intends to make out the occurrence(Entstehung) and origin(Herkunft) of ‘Mask of Nietzsche’. Most of all, this process is to use the Dionysian(das Dionysische) back to Nietzsche which was an ace in the hole which philosopher Nietzsche used to metaphysics for the deconstruction of metaphysics. Through this, this writer is going to identify how Nietzsche is really free from the criticism he asserted himself. Then the writer intends to review the status the sex or woman composing the Dionysian has in his life instead of his theory. And the writer intends to check whether the instinct, sex and woman which were always eternal others of philosophy exist only in Nietzsche’s theory or whether they are fairly acknowledged also in his life. Through this review, this writer is going to ask in return why the hero of this autobiography with the controversy of forgery required the mask of Nietzsch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니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