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와 진리 – 역사 쓰기와 역사 만들기 (History and Truth - History Writing and History Mak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8.12
26P 미리보기
역사와 진리 – 역사 쓰기와 역사 만들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38호 / 268 ~ 293페이지
    · 저자명 : 김기봉

    초록

    역사가는 과거를 역사로 만드는 사람이다. 과거는 사실인 반면, 역사는 이야기다. 실증사학은 과거의 사실과 일치된 역사를 쓰는 것을 진리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런 실증사학의 공리는 실현 불가능한 요청일 뿐이다. 실제로 역사서술의 역사는 과거와 역사의 일치가 아닌 불일치를 조건으로 해서 전개됐다.
    데카르트는 역사가는 과거에 대한 명증한 지식을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역사는 과학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비코는 인간은 자신이 만든 것만을 확실히 알 수 있다는 전제에 입각해서, “진리 그 자체는 만들어 진 것이다(Verum esse ipsum factum)”이란 명제를 세웠다.
    역사가가 연구한 결과물인 ‘역사적 사실’은 ‘과거의 사실’을 데이터로 이용해서 역사가가 만든 사실이다. ‘사이비 역사’란 데이터인 ‘과거의 사실’을 왜곡하거나 날조해서 쓴 가짜 역사를 지칭한다. ‘사이비 역사’는 데이터 과학으로서 역사학의 정체성을 위협하기 때문에 몰아내야 한다. 하지만 역사가에게 데이터의 정확성은 의무일지언정 미덕은 아니다.
    현실세계의 많은 것들이 가상세계로 전환되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 역사학이 추구해야 하는 진리란 무엇인가? 가상세계에서 인간은 사실을 만들기 때문에, 진리란 그야말로 “만들어진 것”이 되고 있다. 이렇게 진리를 만드는 시대를 맞이하여 앨빈 토플러는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는 것”이라 말했다. 4차 산업혁명은 이전의 인류가 가보지 못한 문명사의 새로운 길을 만들 것을 요청한다. 인공지능의 도전에 직면해 있는 역사학은 과거에 관한 객관적 지식을 탐구하기보다는 미래를 위한 진리를 창조하는 상상력을 키우는 학문으로 변모해야 한다.

    영어초록

    Historians are people who make the past history. History is a story, while the past is a fact. Positivism in history claimed that historians were able to approach the truth by restoring what had happened in the past. However, this axiom of the positivist approach is merely an unrealizable postulate. Indeed,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has been developed on the condition of inconsistencies, not in accordance with past and history.
    Descartes argued that history could not be science because historians were unable to produce clear and distinct knowledge of the past. On the contrary, Vico established the proposition “Verum esse ipsum factum” based on the premise that humans can know only what they have made.
    Historians make ‘historical facts,’ as a result of their study by utilizing ‘facts of the past’ as data. ‘Pseudo-history’ refers to a false history written by an attempt to distort or fabricate the historical data. ’Pseudo-history’ must be driven out since it threatens the identity of history as data science. But for historians, the accuracy of data is an obligation, but not a virtue.
    What is the truth that history must pursue in the digital age when many things in the real world are turning into the virtual world? In the virtual world, humans make facts, so truth is actually ”made-up”. In this era of truth making, Alvin Toffler said, “The future is not to predict but to imagin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lls for a new path to civilization that has not been visited by previous humans. In response to this request, history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discipline that fosters imagination that creates truth for the future rather than exploring objective knowledge about the p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