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냉전의 쌀 ‘통일’과 농업생산의 공간 (The Grains of the Cold War: ‘Unification Rice’ and Agricultural Production Space of 1970s Kore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0.12
29P 미리보기
냉전의 쌀 ‘통일’과 농업생산의 공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73호 / 329 ~ 357페이지
    · 저자명 : 김성조

    초록

    그 동안 한국과 동아시아에서의 냉전 연구는 많은 부분 정치외교적 분석의 차원에 치중해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은 이 국제적 차원의 냉전 대결을 남한 농촌의 일상공간이라는 수준에서 읽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70년대 새로운 벼 품종 ‘통일’의 육성을 둘러싼 농민과 기술관료 사이의 역학관계와 여러 매체들을 통해 선전되는 냉전적 농업생산 담론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후 남북의 대결 속에서 쌀의 생산과 자급은 체제 우월성을 상징하는 핵심 지표가 되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남한 정부는 국제미작연구소(IRRI)의 지원으로 다수확 벼 품종인 ‘통일’을 개발하였다.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는 미국의 포드·록펠러 재단에 의해 설립된 기관으로, “제3세계 국가들이 공산주의 진영으로 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표방하고 있었다.
    통일벼가 개발되자, 남한 정부와 기술관료들은 다양한 선전 책자와 영화,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매체를 통해 새 품종의 우수성과 유전적 특징, 재배기술 등을 교육시키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 통일벼가 1970년대 초의 시범농장을 벗어나 전국적으로 퍼지자, 정부는 기술관료를 농촌의 각 마을에 파견하여 새 품종의 효율적 경작을 위해 농촌의 쌀 생산 전 과정에 대한 중앙적 통제를 강화하기 시작한다.
    통일벼는 실험실에서 막 개발된 새 품종이었기 때문에, 농민들은 파종과 모내기, 시비, 농약 도포, 추수 등 모든 생산과정에서 정부와 기술관료들이 정한 지침과 일정계획을 따를 수밖에 없었다. 이 신품종은 곧 수세기 동안 지속된 농민들의 농경일정을 중앙 정부의 단일 계획표로 신속히 바꾸었으며, 전국의 벼 생산공간을 거의 단일 신품종으로 통합하게 된다. 농촌에서의 이러한 시공간적 통일은 급속한 후기 산업화 시기에 요구되는 농업적 대량생산을 위한 것이었고, 이는 당시 자본주의적·냉전적 생산 경쟁의 결과였다.
    ‘효율적 생산, 대량 생산’이라는 산업화 시대의 이상과 남북간 대결이라는 정치적 환경은 이처럼 농민의 일상적 생산 활동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통일벼’에서 ‘통일’이라는 단어의 맥락은 냉전적 대결 구도 속에서 남북간 적대적 통합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냉전의 쌀인 통일벼는 사실상 농업적 시간과 공간의 통일을 낳고 있었고, 이는 냉전적 자본주의 욕망의 노골적 표현이기도 했다.

    영어초록

    Much of the scholarship on Cold War in Korea and Asia tends to reduce history to an account of high order politics. By reading the Cold War through propaganda and media concerning a new rice variety promoted by the Park Chung Hee regime, this paper examines the Cold War rivalry at the level of everyday life history in the countryside Korea.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Cold War, when rice production often served as a standard of competi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ith the help of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IRRI) in the Philippines, developed a high-yield variety named T’ong-il Pyŏ or unification rice. Established by the Ford and Rockefeller Foundations, the IRRI operated in part to prevent “developing countries [from] falling into the Communist camp.” The local officials and techno-bureaucrats educated farmers about the superiority, genetic characteristics, and cultivation techniques of T’ong-il rice, using a diverse collection of propaganda films. Also, as electricity came into farmers’ homes from the early 1970s, television and radio became another effective tool to spread information about the T’ong-il variety. Between 1970 and 1977, approximately 9,000 programs about technology for the increase of agricultural production were broadcast through television and radio, many of which were related to T’ong-il rice.
    As the T’ong-il rice began to spread beyond model farms, the central government dispatched techno-officials to each village for more efficient farm management. The officials had weekly cultivation calendars indicating when to prepare rice seed plots, transplant rice, use insecticide, weed the field, and harvest rice. Farmers had to follow these detailed schedules because T’ong-il rice was a new variety developed in laboratories and, of course, they did not have the experience of cultivating it. The laboratory-born seeds began to unify all the spaces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countryside under the single schedule of cultivation, altering within just a couple of years the traditional agri-calendar that had existed for centuries. Such a spatio-temporal unification in the countryside was a very outspoken expression of the capitalist desire in the period of rapidly growing industrialization. Under the motto of massive and effective production, the Cold War environment deeply influenced farmers’ daily production activities.
    Originally and literally, the term of T’ong-il referred to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s in the context of Cold War confrontations. However, T’ong-il Pyŏ, the rice of the Cold War, indeed can also be read to mean the unification of the whole countryside both in terms of time and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