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홈퍼니싱 플랫폼에서 공간콘텐츠의 전략적 요소에 관한 연구 -오늘의 집 공간코디네이션 채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tegic Elements of Spatial Content in Online Home Furnishing Platform -Focused on Today's House's Spatial Coordination Channel-)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3.08
14P 미리보기
온라인 홈퍼니싱 플랫폼에서 공간콘텐츠의 전략적 요소에 관한 연구 -오늘의 집 공간코디네이션 채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5호 / 21 ~ 34페이지
    · 저자명 : 조혜진, 이정교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플랫폼 경제가 활성화되고 오프라인 시장이 디지털로 확대됨에 따라 홈퍼니싱 시장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다양화된 상품과 관련 시장의 비즈니스 트렌드의 변화에 맞춰 본격적인 디지털 전환을 통해 대응력을 강화하고 소비 트렌드에 맞춰 차별화에 나서는 것이다. 온라인 플랫폼은 고객이 콘텐츠의 소비자인 동시에 생산자로 상호 순환 구조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콘텐츠를 바탕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홈퍼니싱 플랫폼의 공간콘텐츠의 전략적 요소를 제안하고자 시작되었으며, 공간코디네이션과 온라인 플랫폼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간코디네이션과 공간콘텐츠 특성이 가지는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후 소셜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활용 가능한 전략적ㆍ기능적 요소를 도출하여 공간코디네이션 요소를 중심으로 온라인 홈퍼니싱 플랫폼의 공간콘텐츠가 가진 경쟁력과 차별성을 갖춘 전략적 요소를 연구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공간코디네이션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의 공간코디네이션 채널의 특성을 도출한다. 둘째, 온라인 플랫폼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공간콘텐츠의 구성과 특성을 도출하고 공간코디네이션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한다. 셋째, 국내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온라인 홈퍼니싱 플랫폼을 선정하여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공간콘텐츠를 중심으로 정성적 기준과 리커트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사례 분석한다. 이 결과를 통해 나타난 특성을 공간코디네이션 요소에 기반하여 특성을 종합하고 온라인 홈퍼니싱 플랫폼의 공간콘텐츠에 적용 가능한 전략적 요소에 대한 소결을 도출하여 그 가능성을 제안한다. (결과) 결과를 종합하면 오늘의집 공간코디네이션 채널의 공간콘텐츠에서 중심으로 활용된 공간코디네이션 요소는 장식적 요소와 경험적 요소가 중점적으로 다뤄지고 있으며, 공간콘텐츠를 계획하고 연출할 때 소비자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시각적인 감각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감성의 요소를 충족시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브랜드의 상품을 모아 콘텐츠를 구성하는 만큼 공간코디네이션 요소를 전략적 요소로 활용하여 제공하는 정보의 양질과 콘텐츠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온라인 홈퍼니싱 플랫폼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은 단순한 마케팅 채널이 아니다. 목적별, 주제별 등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콘텐츠 전략, 공간 활용 콘텐츠를 위한 전략적 도구로서의 공간코디네이션을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공간과 제품의 체험적 요소를 제공하여 고객과의 접점을 넓힐 필요가 있다. 또한, 이를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콘텐츠와 연계하여 차별화된 공간코디네이션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platform economy is activated and the offline market is digitally expanded, the home furnishing market is also undergoing major changes. In line with diversified products and changes in business trends in related markets, it will strengthen its responsiveness through full-scale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fferentiate itself according to consumption trends. Online platforms are being activated based on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channels through a mutual circulation structure where customers are both consumers and producers of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to propose strategic elements of spatial contents of online home furnishing platforms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coordination and spatial content characteristic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patial coordination and online platforms. Afterwards, the purpose is to derive strategic and functional elements that can be utilized centering on social networks, and to study strategic elements with competitiveness and differentiation of spatial contents of home furnishing platforms, focusing on space coordination elements. (Metho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first,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oordination channel of the online platform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spatial coordination. Second, the concept and type of online platform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tents are derived, then the correlation with spatial coordination is derived. Third, domestic representative online home furnishing platforms are selected, and cases a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riteria and Likert 5-point scale, focusing on the spatial contents provided by the platforms. The characteristics shown through this result are synthesized based on the spatial coordination elements, and the possibility is proposed by deriving the strategic elements applicable to spatial contents. (Results) Summarizing the results, the spatial coordination elements mainly used in the content of the Spatial Coordination Channel of Today's House are mainly focused on decorative and experiential elements, stimulating consumers' interest and visual sense when planning and directing spatial content.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what satisfies the elements of emotion that form a consensus. In addition, as content is composed by gathering products of various brands, the use of strategic elements for spatial coordination will increase the quality of information provided and the reliability of contents. (Conclusions) The communication channel of the online home furnishing platform is not simply a marketing channel. Based on a content strategy that can draw interest from consumers, such as by purpose and theme, space coordination as a strategic tool for space-utilizing cont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sumers with experiential elements of space and products to broaden the point of contact with customers. Also, it is judged that a differentiated spatial coordination strategy is needed by linking this with contents using various digital med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