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시장에 대한 기업의 지역사회 특화 스폰서십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포스코와 포항 죽도시장의 협력사례를 중심으로 (How community-specific sponsorship of a traditional market creates brand equity: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POSCO and the Jukdo Market)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1.12
11P 미리보기
전통시장에 대한 기업의 지역사회 특화 스폰서십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포스코와 포항 죽도시장의 협력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통과학회
    · 수록지 정보 : 유통과학연구 / 9권 / 4호 / 51 ~ 61페이지
    · 저자명 : 나혜수, 이광근

    초록

    기업의 지역사회 특화 스폰서십이란 기업이 특정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및 경제적 자산의 획득을 기대하고 그 지역에 소속되어 있는 개인이나 조직에 금전 또는 기업의 제품⋅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가리킨다. 보통 스폰서십은 전국적인 인물이나 조직에 대한 스폰서링을 통해 브랜드의 노출을 극대화하여 브랜드 자산에 영향을 미치려고 한다. 반면, 지역사회 특화 스폰서십은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범위가 특정 지역사회에 국한되어 있다. 그 한 사례가 포스코와 죽도시장의 협력관계이다. 포스코는 사회공헌 활동의 하나로 죽도시장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에 대하여 죽도시장은 시장 내에 포스코 깃발을 게양하여 상인 및 일반쇼핑객에게 알리고 있다. 포스코는 이러한 스폰서십을 통해 상인들이 주도하는 지역 여론의 지지라는 사회적 자산을 획득한 적이 있다. 그런데 그것이 경제적 자산의 개발로 연결되었는지는 아직 측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스코와 죽도시장의 스폰서-스폰시 관계가 현재적 및 잠재적으로 경제적 자산을 창출하는 데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폰서십이 브랜드 자산을 구성하는 기업 이미지 제고와 브랜드 충성도 강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포스코와 죽도시장 사이의 지역사회 특화 스폰서십은 사회적 자산뿐만 아니라 경제적 자산을 창출하는 데 공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일반쇼핑객 집단과 상인집단에 따라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was first introduced sixty years ago in the academic field. However, the phrase CSR was not explicitly stated before the 1990s in Korean business and academic researches. Recently CSR is more considered a corporate strategy than a philanthropic donation. CSR comprises contributions to local communities as well as using environmentally beneficial and humane practices. Sponsoring is one available marketing tactic used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market. This study of sponsorship has concentrated on developing brand asset by accessing potential values of sporting events or star-players. However, sponsorship includes providing funds or goods to non-profit institutions as well as sports or entertainment organizations. Accordingly corporate community-specific sponsorship is defined as firms offering to provide money, goods and/or services to individuals and/or institutions within a particular community, thus establishing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ners aspiring to gain social and economic assets. National sponsorship is typically targeted toward commonly recognized individuals and/or organizations with the intent to maximize exposure of a sponsor’s brand, and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brand equity(community-specific sponsorship is committed to a limited local area) that a firm could benefit from by gaining a specific asset. POSCO sponsors the Jukdo Market, locate din the city of Pohang, to help revive their traditional market. In return, the Jukdo Market merchant suni on displays flags with the POSCO emblem in front of stores with in the market intending to make shopper sand merchant saw are of POSCO’s sponsorship. POSCO has succeeded in acquiring public support from the citizens of Pohang. However, the economic effects resulting from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POSCO and the Jukdo Market have yet to be measured by any empirical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conomic effects created by the community-specific sponsorship from the groups of merchants and shoppers, measuring its influence on the corporate image and subsequent brand loyalty, as parts of brand equit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community-specific sponsorship of POSCO of the Jukdo Market had different influences on its corporate image and the brand loyalty of shoppers and merchants. First, the merchant group who was more frequently exposed to POSCO's flag recognized the sponsorship of POSCO more than the shopper group, and, therefore, had a better image of the company. Second, the recognition of POSCO's sponso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ts corporate image, and that positive corporate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development. However, the recognition of the sponsorship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brand loyalty. The friendly corporate image developed by the recognition of the sponsorship consequently could have had an effect on brand loyalty. Therefore, companies should not relinquish investments to corporate image development if they require more brand loyalty. Third, the influence of corporate image on brand loyalty shows stronger results in the shopper group rather than in the merchant group. Psycho-graphic factors of shoppers and merchants might give ris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