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격암格菴 남사고南師古의 ‘구천십장九遷十葬 ’설화와 풍수적 재조명 (Re-illumination of ‘Gyeogam Namsago's ‘Gucheonsipjang' from the view of Feng-shui)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2.06
36P 미리보기
격암格菴 남사고南師古의 ‘구천십장九遷十葬 ’설화와 풍수적 재조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20호 / 335 ~ 370페이지
    · 저자명 : 박재락

    초록

    본 논문은 ‘구천십장’ 설화에 나타나고 있는 격암 남사고에 대해서 효도관에 따른 풍수와의 상관관계를 재조명하고자 제시해 본 글이다. 주지하다시피 격암은 1509년~1571년의 시기에 조선시대의 한 벽촌이었던 울진蔚珍에서 우거하면서 평생을 선비의 신분으로 살았던 재야학자였다.『격암선생일고』에 나타난 수제자 남세영의 증언으로 보면, 격암은 평생 『소학』공부를 열심히 하였고, 경세의 뜻을 펴기 위해 과거시험도 보았으나 끝내 과거시험에 합격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묵묵히 유학에 몰두했던 그의 학덕을 주변에서 앙모仰慕하여 ‘효렴孝廉’으로 천거했던 것이 직접적 계기가 되어 ‘사직참봉社稷參奉’과 ‘관상감교수觀象監敎授’의 벼슬을 역임할 수 있었다.
    관상감교수로 재직하면서 격암은 주로 왕조의 운명과 연관되는 예언을 적지 않게 남겼고, 가끔 주위 사람들의 운명을 예언하기도 했다. 그러나 ‘구천십장九遷十葬’으로 각색된 격암의 설화를 보면, 격암이 부친을 이장하면서 묘혈을 제대로 잡지 못하여 아홉 번이나 이장했다는 것이다. ‘구천십장’설화에서 중요한 것은 격암이 묘터를 잘 못 잡았다는 것이 아니라 아홉 번이나 이장을 할 정도로 부친에 대한 효심이 있었다는 점이라고 본다. ‘구천십장’설화가 팔도의 백성들에게 널리 전파될 만큼 격암은 대중의 사랑을 받았던 풍수사상가였던 것은 분명하다고 본다. 이에 격암의 진면목이 ‘구천십장’설화에서 다소 왜곡되어 있다고 느낀 필자는 격암의 풍수안목을 검증하고자 실제 부친 묘가 있는 선영을 답사하였다. 격암의 부친 남희백 공의 묘소를 답사하고 과연 이곳이 구천십장 설화에서 말하는, 즉 풍수지리상의 흉지凶地에 해당되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풍수지리학의 분석틀인 간룡·장풍·득수·정혈·좌향법으로 검증해 본 결과, 이곳 선영은 주변의 산세가 혈장을 보호할 수 있는 장풍형국을 이루고 있으며, 백두대간 내룡맥의 생기가 머물고 있는 명당공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국세에 소점한 것으로 볼 때, 격암의 풍수안목은 결코 낮지 않다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천십장’의 설화나 전설은 다소 왜곡이 있다고 본다. 이러한 격암의 풍수적 안목을 필자의 풍수적 분석에 따라 명당길지였다고 밝힌 것은 ‘구천십장’ 설화에 나타난 형국론에 대하여 격암의 효심을 풍수지리적 측면에 비추어 반증하고자 하는 이유에 있다.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를 보완할 수 있는 역사자료와 문헌증거의 보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Sir Namsago was a Confucianist who resided in Uljin, a remote place in Joseon dynasty, between 1509 and 1571, and he never changed his career as a scholar. People admired the learning and virtue he showed while devoting himself silently to Confucianism in a remote place Uljin and recommended him as 'the dutiful and upright'. It worked directly so that he could be in office as 'Sajikchambong' and 'Gwansanggamgyosu'.
    While his service as Gwansanggamgyosu, he left not a little of forecasts related mainly to the destiny of dynasty and that of people around him as well.
    Stories of 'Gucheonsipjang' flattered and recommended Sir Namsago as 'national customs', but in fact, the content of the stories are mostly about disparaging him, for he failed to set a grave. Nevertheless, this researcher wants to read his filial heart from the story that Sir Gyeogam failed to set a grave as many as 9 times and to see him as a Feng-shui thinker who received public love as much as his 'Gucheonsipjang' narratives spreaded to people nationwide. That made me come to see the grave of Sir Namhuibaek, the father of Gyeogam, to inspect that it really belongs to a unlucky place(凶地) in Feng-shui. It was judged that it is an aspect of Jangpung that surrounding mountains protect the place and a propitious spot in which the spirit of Naeryongmaek of Baekdudaegan stays.
    Therefore such narratives or legends of 'Gucheonsipjang' do not seem to reflect the heart of Sir Gyeogam who removed the grave to another place. The reason he removed the grave even two times seemed to be from his filial heart as he was regretful of his not being dutiful to par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