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업후원 특성과 문화예술 마케팅 기여도에 관한 연구 -아트페어 스폰서십의 매개적 역할-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Sponsorship and Its Contribution to Cultural and Arts Marketing - The Mediating Role of Art Fair Sponsorship-)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5.04
12P 미리보기
기업후원 특성과 문화예술 마케팅 기여도에 관한 연구 -아트페어 스폰서십의 매개적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20권 / 3호 / 143 ~ 154페이지
    · 저자명 : 신동우, 이정교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문화소비지형도의 변화에 따라 기업들이 시각예술산업을 효과적인 마케팅 기법으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기업 브랜딩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아트페어와 스폰서십을 통하여 기업의 문화예술 후원 활동이 브랜드 이미지 강화와 소비자와의 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후원의 효과와 아트페어의 매개 역할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하여,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기업후원과 아트페어에대한 이론적 고찰과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주요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후,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특성들을 반영해 설문 문항을 구성하고, 예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신뢰도를 검토하였다. 예비조사 결과를 반영해 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 30.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해 병렬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분석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후원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마케팅 전략과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기업후원 특성이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과 아트페어 스폰서십 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후원 특성이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β=0.6379, p<0.05)와 총 효과(β=0.7760, p<0.05)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기업후원 특성이 아트페어 스폰서십 특성에 미치는 영향(β=0.4933, p<0.05)과 아트페어 스폰서십 특성이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β =0.2799, p=0.0252)도 유의하였다. Bootstrapping 기법을 활용한 간접효과 검증에서도 유의성이 확인되었다(LLCI=0.0015, ULCI=0.2604). 이는 기업후원이 직접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아트페어 스폰서십 특성을 매개로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 본 연구는 기업후원 특성이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과 아트페어 스폰서십 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후원 특성은 문화예술마케팅 기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아트페어 스폰서십 특성을 매개로 그 효과가 더욱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후원은 아트페어의 운영 방식과 성격을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며, 아트페어는 기업과 예술 간의 접점을 확대하고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플랫폼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은 개별 후원에 그치지 않고, 전략적으로 아트페어와 같은 매개적 요소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업후원과 문화예술마케팅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아트페어의 중개적 역할을 밝힘으로써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cultural consumption patterns evolve, corporations increasingly recognize the visual arts industry as a valuable marketing tool and actively incorporate it into their branding strategies. Among various approaches, sponsorship through art fairs has become particularly effective in enhancing brand image and fostering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corporate sponsorship in the cultural and arts sector and examines the mediating role of art fairs in enhancing the contribution of sponsorship to cultural and arts marketing. By clarifying these relationships, the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how companies can maximize the strategic value of cultural sponsorship and build stronger partnerships with the cultural sector. (Method) This study derived key characteristics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and previous studies on corporate sponsorship and art fairs, and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ccordingly. Subsequently,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followed by a preliminary survey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30.0 and PROCESS macro to verify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through parallel mediation analysis.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marketing strategie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orporate sponsorship and strategic measures to enhance the contribution of cultural and arts marketing. (Results) Empirical analysis confirms that corporate sponsorship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influence contributions to cultural and arts marketing. Both the direct effect (β = 0.6379, p < 0.05) and total effect (β = 0.7760, p < 0.05)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porate sponsorship characteristic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 art fair sponsorship characteristics (β = 0.4933, p < 0.05), which in turn significantly influence cultural and arts marketing contributions (β = 0.2799, p = 0.0252). Bootstrapping analysis further confirms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LLCI = 0.0015, ULCI = 0.2604), indicating that corporate sponsorship enhances cultural and arts marketing contribution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art fairs. (Conclusion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orporate sponsorship is more than financial support, actively shaping the structure and positioning of art fairs. These fairs serve as key intermediaries that connect corporations with the cultural sector while increasing public engagement. Companies should adopt a strategic, long-term approach, treating art fairs not just as sponsorship recipients but as collaborative partners that enhance cultural and arts marketing effectiveness. By clarifying the interconnected roles of corporate sponsorship, art fairs, and cultural and arts marketing, this study offers valuable academic insights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both corporate sponsors and cultural institu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