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소라의 지리적 용어에 대한 칠십인역 번역연구 - 광야와 토양 용어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Septuagint Translation to Geographical Terms in Massora Text : In the Case of Wilderness and Soil)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1.02
41P 미리보기
마소라의 지리적 용어에 대한 칠십인역 번역연구 - 광야와 토양 용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사회 / 35권 / 1호 / 1 ~ 41페이지
    · 저자명 : 이미숙

    초록

    필자는 앞서서 마소라의 지리적 용어들 중 지형, 물, 경작지에 관한 칠십인역의 번역 경향을 다룬 바 있다. 이번 연구는 그것의 후속연구로 광야와 토양 용어를 중심으로 칠십인역의 번역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슈바르첸바흐의 목록을 토대로 하여 마소라의 광야 24개, 토양 18개로 총 42개 용어이다. 마소라의 용어들에 대한 칠십인역의 상응어는 광야 95개, 토양 62개로 총 157개로 3.7배에 달한다. 연구는 마소라와 칠십인역 번역자들의 용어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와 다르게 읽거나 음역한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고 칠십인역의 번역자들의 동기와 특징을 알아 볼 것이다. 한편 한글 성경을 비롯한 현대번역본들의 문제를 점검하고 지리학, 언어학, 성서학 분야의 통섭적 연구 방법론의 다른 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칠십인역의 일치 상응어들은 일치율이 89%로 다소 더 높게 나타났다. 어휘 빈도수가 높은 ‘미드바르’, ‘나베’, ‘아라바’는 다수의 상응어들을 갖는다. 이는 반건조 기후의 지역의 특징인 고립되고 메마르며 황폐화된 이미지와 관련 있다. 현대 번역본들은 ‘광야’ 혹은 ‘사막’으로 정형화된 번역은 칠십인역과 대조적이다. 광야들의 발생 원인과 관련해서 칠십인역 상응어들은 광야에 대한 광의적 개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추르’와 ‘셀라’의 상응어들 중 하나님의 메타포로 사용된 용어들은 우상숭배나 신인동형론적 표현을 피한 신학적 동기도 발견할 수 있었다.
    칠십인역이 불일치한 경우는 11%로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오히려 번역자의 특징을 알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칠십인역의 다르게 읽기는 번역자의 오류의 경우도 있지만 불안정한 본문이나 난해한 해석의 문제가 있을 때 나타난 경우들이 더 많다. 연구결과 칠십인역의 상응어들은 용례가 적기는 하지만 지리적인 용어라는 특수성을 감안한다면 역동적 상응어에 가깝다고 말할 수 있다. 칠십인역 번역자는 원어로 된 본문을 가능한 한 재생산하려는 경향으로 메시지와 독자들에게 주는 메시지의 효과를 더 중요하게 여긴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칠십인역이 후대 번역본들과 현대 독자들에게 여전히 영감을 주고 있고 풍부한 해석으로 나아가는 새로운 창이라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I have previously dealt with the tendency of translators of the Septuagint (LXX) regarding topography, water, and arable land among the geographical terms of Massora (MT). This subsequ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LXX translation, focusing on the terminology of the wilderness and soil. The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flect most of the important topographical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Israel, although they are few in proportion to the total word cou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2 terms, 24 wildernesses, and 18 soils of MT based on Schwarzenbach's list. LXX translators have translated these terms into 157 diverse equivalents, more than three times the number of Hebrew words. The current study compares the terms between MT and LXX, analyzes them by reading or translating them differently from the cases where they match, and identifies the motives and characteristics of LXX. On the other hand, I examine problems in modern translations, including the Korean Bible, and present a possibility for integrated research in geography, linguistics, and biblical studies.
    Among the 157 equivalents expressed by LXX translators for 42 Hebrew terms, in 89% or more of the cases, the LXX matches MT. “Midbar,” “Naveh/Navah,” and “Araba,” which have high a frequency in the vocabulary, have many equivalents. These terms are related to isolated, dry, and devastated image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semi-arid climates. Modern translations have expressed them as the streotype “wilderness” or “desert,” in contrast to the LXX. Regarding the cause of the wilderness formation, the equivalents in the LXX seem to reflect the broad concept of the wilderness. Among the equivalents of “Zur” and “Sella,” the terms used as God’s metaphors can also be found in theological motives that reject idolatry or anthropomorphism.
    Readings different from the MT and transliteration occurred when there was a problem with damage to or interpretation of the MT. They are not large, only 11% of the LXX equivalents, but they are not small in terms of biblical hermeneutics and textual criticism.
    The study found that the equivalents of LXX were similar to dynamic equivalents. LXX translators seem to have a more significant view of the effect of the messages on readers, as they tend to reproduce the original text as much as possible.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fact that the LXX still provides an inspiration to later translations and modern readers and a new window for dynamic interpr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