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특수교사의 교직문화 적응과정: 자부심을 지닌 유아특수교사로의 정착을 향해 나아가기 (Becoming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6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7.12
69P 미리보기
유아특수교사의 교직문화 적응과정: 자부심을 지닌 유아특수교사로의 정착을 향해 나아가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 / 20권 / 4호 / 91 ~ 159페이지
    · 저자명 : 이순자

    초록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교직생활 경험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이들의 교직문화 적응과정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방법을 기반으로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공·사립 특수학교 등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 11명에 대한 심층면담, 연구 참여자 저널, 문서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료로부터 94개의 개념과 35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로 살아가기’의 패러다임 모델은 1)중심현상, 2)인과조건, 3)맥락, 4)중재조건, 5)행위/상호작용 전략, 6)결과로 구성되었다. 중심현상은 ‘유아지도’, ‘통합교육 지원’, ‘학부모와의 관계 형성’의 역할과 어려움, 그리고 ‘조직 내 교사의 소외감/위축됨’ 을 포함하고, 인과조건은 ‘유아특수교사직의 기틀 부족과 나 홀로 구조’이다. 맥락은 조직의 풍토, 일반교원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이며, 중재조건은 ‘유아특수교육 관련 당사자의 이해와 인정, 지지 여부’, ‘교육에 대한 자신의 신념’, ‘행·재정적인 지원 여부’, ‘유아특수교사직에 대한 자신의 이해도’가 포함된다. 행위/상호작용 전략은 ‘책무성 다하여 나의 입지 다지기’, ‘원만한 인간관계 맺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전문성 다지고 드러내며 마중물 역할 해 내기’가 포함된다. 결과는 ‘자부심 갖고 원만한 정착을 향해 나아가기’가 포함된다. 셋째, 유아특수교사의 교직문화 적응 과정은 4단계인 ‘유아특수교사로 살기’ 시작의 단계, ‘역할 수행과 어려움’의 단계, ‘살아남는 방법 터득’의 단계, ‘개선방안 탐색’의 단계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교직문화 적응과정과 그 특성을 밝힘으로써 이들의 교직생활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고 전문성 신장의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discover the adapta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apting to teaching culture by investigating their professional experiences. In order to do this,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collected data: research journals, collected copies of relevant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leve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either work at a special class in public kindergartens, or at a private/public special schoo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94 concepts, 35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data. Second, the paradigm model “being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consists of a) phenomena, b) causal conditions, c) the context, d) intervening conditions, e) strategic actions/interactions, and f) the consequences. Phenomena include “teaching students,” “roles and difficulties in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roles and difficulties in collaborating with parents,” and “the teacher’s sense of isolation from teacher communication.” Causal conditions include “lack of the solid foundation for the profession and support in isolation.” Intervening conditions include “the support and recognition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takeholders,” “one’s belief in educa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and “the degree of one’s understanding of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 Strategic actions and interactions include “establishing one’s foothold by carrying out their responsibilities,” “actively coping with the difficulties as well as maintaining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forming the role of priming water while strengthening and showing one’s expertise.” Consequences include “pursuing to settle down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with confidence.” Third, the adaptation process is analyzed into the following four phrases: the beginning phrase of “becoming a teacher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econd phrase of “performing roles and encountering difficulties,” the third phrase of “learning how to survive,” and the last phrase of “exploring ways to improve.” This study gains its meaning through studying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aptation process; it help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ir teaching life by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인류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