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소설 문화콘텐츠를 통해 본 여성서사의 새로운 가능성 - 웹툰 <그녀의 심청>을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of a Female Narrative Seen Through Classic Novel Content - Focusing on the Webtoon Her Tale of Shim Cho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0.12
29P 미리보기
고소설 문화콘텐츠를 통해 본 여성서사의 새로운 가능성 - 웹툰 &lt;그녀의 심청&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41호 / 177 ~ 205페이지
    · 저자명 : 김강은

    초록

    본 논문은 웹툰 <그녀의 심청>을 중심으로, 고소설을 활용한 콘텐츠에서 여성서사가 어떤 방식으로 존재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그녀의 심청>은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을 웹툰으로 재구성한 작품으로, ‘심청은 왜 장승상 부인의 공양미 삼백 석 제안을 거절하였을까?’라는 의문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원전에 대한 의문점을 전면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사를 재구성한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녀의 심청>의 인물 형상과 작품이 지닌 여성서사적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우선 인물 형상의 측면에서 보면, <그녀의 심청>은 심청과 장승상 부인, 뺑덕어미를 주요 인물로 내세우며 <심청전>의 서사를 새롭게 구성한다. 심청은 아리따운 효녀가 아니라 거렁뱅이의 모습으로, 장승상 부인은 규범과 본분에 얽매여 있는 상층 여성으로, 그리고 뺑덕어미는 사회 규범의 굴레에서 먼저 탈피하여 다른 여성들을 돕는 조력자로 묘사된다. 작품은 이들의 상황이 각기 다르지만 모두 여성이기에 같은 고통을 겪고 있음을 드러낸다. 각각 계층은 다르지만, 사회적 규범과 본분에 종속되어 있다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지닌 것이다.
    <그녀의 심청>에서 이렇게 여성 인물들이 각각의 특징을 지니게 된 것은, 여성들이 직접 자신의 입으로 발화하는 서사를 마련해주었기 때문이다. 작품에서는 가부장제 하에서 여성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잃는 과정에 주목하고, 서로의 계층차를 극복하고 여성이라면 겪을 수밖에 없는 규범과 본분의 문제를 직시하게끔 한다. 그리고 이들은 이해와 연대를 통해 사회에서 요구하는 규범에 저항한다. 그리고 마침내 인당수의 용왕과 대면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함으로써, 보편/거대 서사에 대항하는 여성서사의 시작을 알린다.
    <그녀의 심청>의 이 같은 시도는 우리가 익숙하게 알던 고전 서사를 변용하여 흥미를 이끌어내면서도, 작품에 대한 적극적 독해로 독자를 인도한 사례라 할 수 있다. 또 그동안 드러나지 않은 여성들의 입장을 이끌어냄으로써, 차후 고소설의 콘텐츠화에 ‘여성서사’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시도는 고소설의 대중화 차원을 넘어, 현대에도 고소설이 재맥락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Focusing on the webtoon Her Simcheong, the thesis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how a female narrative could exist in the contents using classical novels. Her Tale of Shim Chong is a work that reconstructs the Pansori novel Shim Cheong Jeon into a webtoon. The stor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y did Shim Cheong reject the proposal of the wife of chancellor Jang.” The question of the original work was fully presented and the narrative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i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figure of Her Tale of Shim Chong and the femal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were reviewed.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figure of a person, Her Tale of Shim Chong overturns the stereotype of Shim Cheong Jeon by proposing Shim Cheong, the wife of chancellor Jang, and Byeong-deok mother as the main characters. Shim Cheong is not a beautiful filial piety girl, but a snarky figure, the wife of chancellor Jang as an upper-class woman who is bound by norms and duties, and a Byeong-deok mother as a helper to help other women by breaking out of the bondage of social norms. The work reveals that although each of these situations is different, they are all suffering the same pain because they are all women. Each class is different, but has a common denominator in that it is subordinate to social norms and duties.
    In Her Tale of Shim Chong , the reason why each female character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s because each narrative is given to each woman who has been erased and distorted by the existing ideology. In the work, the process of distorting women through the Shim Cheong Jeon is revealed, overcoming each other's class differences, and allowing women to face the problems of norms and duties that women must face. And they resist the norms demanded by society through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And finally, by confronting the dragon king of Indang-su and starting a new life, it announces the beginning of a female narrative against the universal giant narrative.
    Such an attempt by Her Tale of Shim Chong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leading the reader to active reading of the work while drawing interest by transforming the classic narrative we are familiar with.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opened up a new possibility of ‘female narrative’ in the contentization of high novels by bringing out the positions of women that have not been revealed so far. These attempts will go beyond popularization of high novel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recontextualizing high novels in modern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