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법원의 역할과 상고심 개선의 헌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상고법원 도입 방안 논의를 중심으로 - (The Role of th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Issues in Relation to the Proposal of Court of Appeal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5.10
33P 미리보기
대법원의 역할과 상고심 개선의 헌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상고법원 도입 방안 논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연구 / 44권 / 1호 / 27 ~ 59페이지
    · 저자명 : 김종철, 이준일, 이상경, 허진성

    초록

    상고심의 업무부담이 과중한 반면에 전원합의체 사건의 비중이 과소한 불균형의 문제는 사법제도 개선과 관련하여 오랫동안 논의가 이루어져온 중대한 문제이다. 처리해야 할 과다한 사건을 분담하고 부담을 경감하는 방안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단순히 효율성만을 생각하여 편의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것은 대법원이 보유하는 헌법적 역할과 기능이 있기에 그러하다. 대법원은 최고법원으로서 국민의 권리구제를 책임지는 최후의 보루이자 각급법원에서 적용되는 법의 통일성을 확보하면서 헌법이념과 원리에 입각하여 법을 해석ㆍ적용함에 있어 다양한 지향가치를 제시하고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법을 구체화하는 정책법원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사법권은 개인의 권리구제와 법질서 유지라는 기능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기본적 인권의 보장을 비롯한 민주공화국 헌법의 기본규정과 원리에 합치되도록 법률을 해석ㆍ적용한다는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대법원은 헌법재판기관으로서의 성격도 보유한다. 상고심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헌법적 쟁점을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헌법적 차원에서 대법원이 가지는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해를 출발점으로 삼고 그 효과적인 구현을 목표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대법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헌법적 이해를 토대로 상고심 개선과정에서 논의되는 문제로서 대법원이 모든 상고사건을 담당하지 않는 것이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와 상고법원의 도입을 위해 구체적으로 제안된 법원조직법 개정안을 전제로 상고법원의 권한이 헌법에 위반되는지, 상고법원 법관의 임명절차가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와 같은 제반 논점들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상고법원제도의 헌법적합성에 대해 논증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long-term discussions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the judiciary system, which aims at the establishment of Court of Appeals designated to deal with appeal cases brought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justices have been bombarded by thousands of cases each year and, nevertheless, only few cases have been decided by all Supreme Court Justices (en banc). Although there can be various ways to make justices less burdened and to decrease the case loads, it would be better off not approaching this matter only in terms of efficiency and expedience for the Supreme Court should undertake constitutional duties and functions to guarantee the right of access to justice. The Supreme Court as the highest court is the last resort to protect the right of people and a policy-making institution, carrying functions to secure unity of law applied to the court cases, to suggest a variety of values, and to make laws concretely applied according with the spirit of the times. In addition, since the judicial power is envisaged to interpret the law and to apply it to the cases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and principes of the constitution aimed at protecting fundamental human rights through the law and order mechanism of society, the Supreme Court also can be regarded as a constitutional adjudication institution. In order to solve various constitutional issues when trying to seek for a reform of appeal systems, it is necessary to pursue the effective fulfillment of the Supreme Court's role and function laid down by the constitution.
    In this regard, this article tries to look into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proposed Court of Appeals system, arguing whether the Supreme Court should decide each and every case before it, whether the jurisdiction of the Court of Appeals violates the relevant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lastly whether appointment process of judges of the Court of Appeals is repugnant to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