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石坡 李昰應 書畵의 無心境界의 心卽是禪的 審美體現 考察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hat Mind is Zen in Seokpa Lee Ha-eung’s Calligraphy and Painting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7.09
34P 미리보기
石坡 李昰應 書畵의 無心境界의 心卽是禪的 審美體現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1호 / 433 ~ 466페이지
    · 저자명 : 김명주

    초록

    이 논문은 亂世인 朝鮮朝 末 王室家 인물 중에서 정치가이자 書畵藝術家의 삶을 살았던 石坡 李昰應(1820~1898)의 禪家的 書畵創作에 깃든 審美意識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조 말 종실의 석파 이하응의 인생은 드라마틱한 역정을 겪었다. 그 과정에서 석파는 정치적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했다. 그러나 현실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반되게 전개되었고, 정치 일선에서 어쩔 수 없이 물러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자, 석파는 서화예술창작이라는 다른 측면을 통하여 그 시대의 아픔과 혼란을 간접적으로 표출하고자 하였다.
    석파의 예술사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그가 儒者라는 관념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런데 석파의 예술창작은 달라진 시대만큼 자신들의 예술정신을 표출하고자 했던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석파의 예술창작에 담긴 예술정신에 대한 철학·미학적 관점의 분석이 요구된다.
    석파의 人生歷程은 한편의 드라마이며, 그 드라마는 다시 예술이라는 이름을 빌어 세상과 소통하고자 하였다. 예술은 복잡·多難한 인생사 속에서, 특히 실의와 절망의 상황 속에서, 한 폭의 아름다운 그림·아름다운 旋律·아름다운 詩句로 인해, 심령이 구원되기도 하고 생의 환희와 희망을 되찾게 되는 신비를 경험하기도 한다. 이런 경험 속에서의 예술적 창조는 찰나의 영감에서 촉발된다. 그러므로 석파의 예술창작은 정신적 영감 활동이다.
    이러한 예술창작은 석파 이하응에게서 심미의식 중 하나인 無心의 審美로서 체현되었다. 이 무심은 단순히 기발한 그 妙相의 구상이 아니며, 效顰學步의 模擬가 아니라, 자연성정의 드러남이 天機적 妙思이며, 자발적 心態이다.
    政界에서 下野하고 대자연에 은적한 칠순의 석파의 佛心은 자연 속의 無我境界와 융합되어 그 妙悟를 얻었다. 따라서 그 마음은 이 세상에 태어날 때의 ‘本來面目’으로 돌아가 온갖 번뇌를 덜어내고 自心見性하니, 空하고 靜하여 萬境을 채울 수 있다. 나아가 석파의 그 묘오는, 수려한 자연의 순진한 靜境에서 禪思를 修鍊參悟하며 靜居하는 중에 妙機의 경계에 도달하여, 그의 무심경계의 心卽是禪的인 심화에서 한 소절의 글과 한 폭의 審美心畵로서 체현되었다.
    요컨대, 조선조 말 왕실서화가 석파는 자신이 살고자 했던 삶을 書畵라는 도구를 통해 담아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암울한 시기에 처한 석파가 행하고자 한 발언이 그 서화창작에 담겨 있다. 몸으로 저항하지 못하는 현실적 상황에서 그는 서화창작을 통해 자신의 정신을 다양한 형상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다양한 화제를 통해 자신의 저항정신과 예술정신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인생의 황혼 길에서 불심이 생활의 근간이 되었던 서화가 석파의 禪家的 無心은, 자연을 그 基底로 한 일체에서 妙悟의 畵意와 묘오의 禪心이 담긴 무심의 경지로 표출되었다. 찰나의 신비한 경험에서 표출된 선가적 禪理와의 妙合은, 석파 예술의 또 하나의 神韻인 것이다. 독특한 지혜를 담은 한 송이 ‘妙悟’라는 꽃은, 석파 서화의 無心境界의 心卽是禪的인 審美體現에서 만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Seokpa Lee Ha-eung’s art of Zen Buddhism, who was a politician, calligrapher, and painter in late Joseon dynasty. An artistic creation can be made at the very moment that an ethereal inspiration is unleashed. Therefore, the very spiritual and religious inspiration is a significant spiritual action for artistic creation.
    Lee Ha-eung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figure who led a dynasty with negative toughness at an urgent, historical transition period of late Joseon. Going through that declining history and political bitter struggles, however, he was an artist who created a number of works, which draws keen attention.
    For Seokpa Lee Ha-eung, this kind of normal phase of art is realized as an aesthetic appreciation of detached mind. The aesthetic appreciation of detached mind is neither just a conception of an ingenious profound phase nor just an imitation, but a profound thought of heaven-gifted nature that expresses natural human nature and emotion and a state of a spontaneous mind.
    When Seokpa lived in seclusion in his latter years, he was empty and tranquil but able to fill out with anything and embrace all the movements, so that he was empty but satisfactory. In other words, though he lived in reality, he could enlighten the mind and see human nature by restoring the original mind and taking out of anguish. As the original nature does not need to be polished, Seokpa’s ordinary life that adapted himself to nature became a profound Way. It is not only an intercommunication by realizing the profound principle of operating all things that unifies self and things from just a simple natural phenomenon, but also an attainment of the state of detached mind. That is to say that Seokpa’s Buddhist mind attained the profound enlightenment by unifying with the state of perfect selflessness in the nature. Moreover, Seokpa’s profound enlightenment was realized as a piece of writing and a picture of an aesthetic painting of mind in his state of detached mind by cultivating himself, finding enlightenment and attaining the state of profound technique in the genuine natural scenary.
    Consequently, the Zen of Seokpa, who was a calligrapher and painter, whose Buddhist mind was the basis of life attained the will of paintings and the Zen mind of the profound enlightenment on the basis of the nature. It could be called the state of detached mind that unified his poetry, calligraphy, paintings and Zen. The emotional art created by Seokpa’s free will that only he could feel and the principle of Zen come from his momentary mystical experience were another superb spirit of his calligraphy and paintings. Therefore, a flower by the name of ‘profound enlightenment’ with a unique wisdom fully opened in the aesthetic realization of the state of detached mind that mind is Zen through Seokpa’s calligraphy and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