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군 심리전과 ‘잔류’의 냉전 서사: 모윤숙의 한국전쟁 수기와 영상을 중심으로 (The Cold War Narrative of Remain and the U.S. Army Psychological Warfare: Mo Younsook’s essays and film materials on the Korean War)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1.04
37P 미리보기
미군 심리전과 ‘잔류’의 냉전 서사: 모윤숙의 한국전쟁 수기와 영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65호 / 307 ~ 343페이지
    · 저자명 : 박연희

    초록

    이 글은 모윤숙의 사례를 통해 ‘북한군 점령기 서울’이 미군 심리전의 범례로 활용되는 양상을 살펴 잔류파/도강파의 구분을 통해 생산된 반공수기 텍스트가 미군 심리전의 사례가 될 때 달라지는 시각, 관점을 상론하고자 했다. 적화삼삭 체험이 내셔널리즘의 기억으로 서사화되는 과정에 중첩되어 나타나는 냉전 심리전의 맥락은 한국전쟁이 어떻게 냉전자유주의로 확대될 수 있었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모윤숙의 잔류 서사는 부역자나 비도강파 문제 외에도 더 면밀하게 살펴야 할 쟁점이 있다.
    수복 직후 모윤숙의 잔류 체험은 미 육군통신대 <여류시인(POETESS), ADC 8517 A~B> 필름에서 확인된다. 1950년 10월 중순 맥아더 사령부에서 전투지역 심리전을 담당할 장교 및 군속을 파견해 조직한 사령부 직속 사진부대가 촬영한 것이다. 영상에서 자살의 기독교적 알레고리와 클로즈업한 인물의 표정 및 동작을 정밀하게 보여주는 여러 신은 기록영화에서 배경과 상황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것과 다른 성격을 지닌다. 비서구 주변국에서 냉전 구도와 군사적 충돌이 먼저 진행되자 미국은 공산주의 대 자유주의의 역학관계 속에서 특히 개별(또는 집단) 행위자의 반응을 수집해 목록화하기 시작했다.
    1950년 12월 미 공군대학 HRRI(인적자원연구소)팀은 한국에 도착해 북한군 점령기 주민을 대상으로 체험을 조사한다. 미 사회학자의 시각에서 북한은 소련 위성국가 중 하나이며 3개월간의 북한군 점령기는 냉전체제가 본격화되기 전에 미국의 작전과 전략을 확인, 검증할 실증적인 견본이기도 했다. HRRI팀은 적치삼삭 수기집 『고난의 90일』을 『빨갱이들의 도시 점령(The Reds Take a City)』(1951)에 수록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중국어 등의 4개국 번역판으로 출판한다. 미 심리전의 일환으로 자신의 체험이 선택, 재현, 번역된 경험은 어쩌면 모윤숙이 30여 년간 잔류 서사를 부단히 반복하게 된 이유였을지 모른다.
    자신의 개인적인 체험이 미 심리전에 활용되면서 모윤숙은 한국전쟁을 세계동시성의 사건으로 인식하고 미국의 시선 속에서 자아와 세계를 재발견하는 순간을 경험한다. 그 순간이란 자기 서사가 냉전의 집단기억으로 공식화되는 과정의 기원이기도 하다. 한국전쟁은 냉전체제의 주변부가 반공블록 내부에 편입되는 역사적 단계에 해당한다. 더욱이 1960년대 이르러 공보부 요청으로 베트남전쟁 파병 문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게 되자마자 모윤숙이 잔류 서사(「이 목숨의 방황」, 『회상의 창가에서』, 1968)를 다시 꺼내 국군 표상을 새롭게 추가했다는 사실은 다시금 주목할 만하다. 미 심리전에서 최로로 활용된 적화삼삭 체험은 사후적 기억으로 부단히 재가공될 뿐만 아니라 냉전체제의 전리품으로서 얼마든지 재생산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ill highlight that Seoul during the North Korean occupation was regarded as the model of psychological warfare by the U.S. military, and also unveil that anti-communist memoirs of that time will no longer be able to be understood by the distinction such as remainers/crossers. For instance, Mo Younsook's remains narratives need to be interpreted not only from the standpoint of war collaborators or non-crossers, what matters even more, but also from the standpoint of a psychological warfare. In reference to the process of narrating one's experiences during the North Korean occupation into the memory of nationalism, It is a very significant issue to consider how the Korean War expanded to Cold War liberalism in the context of a psychological warfare.
    Mo Younsook's remains experience had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as the book titled The Reds Take a City in 1951, and produced as the movie titled Mo Youn Sook Flees Communists focusing on the process of the evacu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her own personal life becoming a psychological warfare's model, she recognized the Korean War as a synchronizing world event and rediscovered one's self and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U.S. It had been the origin of historical process that on the one hand her self-narrative was formalized as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Cold War, and on the other hand, Korea, the periphery of the Cold War regime, was incorporated into the anti-communist bloc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