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절초점 효과에 대한 주가 기대심리가 펀드 가입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derating Focus Effect and Stock Price Expectations on the Possibility of Joining the Fund)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4.05
22P 미리보기
조절초점 효과에 대한 주가 기대심리가 펀드 가입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32권 / 2호 / 347 ~ 368페이지
    · 저자명 : 이능력, 구자숙

    초록

    · 연구 주제: 본 논문에서는 조절초점효과와 주가심리가 펀드 가입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분석을 수행한다. 향상초점과 방어초점이 펀드 가입 가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주가에 대한 기대심리가 펀드 가입 가능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검증한다.
    · 연구 배경: 복잡한 현대사회에서는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아지면서, 사람들의 투자의사 결정이 점점 더 복잡하고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여러 요인들이 각각 변함에 따라 투자 대상 및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은 계속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감내하고, 이로 인한 이득 또는 손실에 대한 예측도 정확히 하지 않은 채 투자의사 결정을 하고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첫째, 사람들의 심리적인 요인을 펀드 투자 요인과 결합하여 연구함으로써, 재무관리 분야에 심리학적 요소를 도입한 융합연구이다. 둘째, 개인의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라 펀드 가입 가능성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규명하였다. 셋째, 계층적 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보다 신뢰성 있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 위해, 한국투자자교육재단에서 한국리서치를 통해 실시한 2007년 펀드투자자조사 설문자료를 활용하였고, IBM SPSS version 29에 의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에 앞서, 변수의 설명력을 검증하고 모형 적합도를 테스트하였으며 조절초점과 펀드유무에 대한 빈도분석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본 논문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가에 대한 기대 심리는 재무 위험 감수 성향과 펀드가입 여부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주가에 대한 기대 심리가 높을수록 재무 위험 감수 성향이 펀드가입 여부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향상초점을 가진 사람들은 예방초점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펀드 가입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향상초점이 펀드 가입율을 높이는 관계에서 주가에 대한 기대심리가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향상초점을 가진 사람들이 예방초점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펀드 가입률이 높아지는 관계는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기대할 때 더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첫째, 본 연구는 조절초점과 주가심리가 펀드 가입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했다. 이를 통해 두 요인이 투자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둘째,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투자자에게 조절초점과 주가심리의 역할을 설명함으로써, 개인 및 기관 투자자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투자 전략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는 재무관리 분야 연구에 심리학적인 요소들을 고려한 융합연구로 가치가 있으며, 후속 연구자들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 Research topics: In this paper, an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effect of moderating focus and stock price sentiment on the possibility of joining the fund. It verifies the effect of improvement and defense focus on the possibility of joining the fund, and also verifies the effect of expected sentiment on stock prices on the possibility of joining the fund.
    · Research background: In a complex modern society, people's investment decisions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difficult as there are many things to consider when investing. In addition, as various factors change, uncertainty about the investment target and situation continues to grow. Investors are making investment decisions without accurately predicting the benefits or losses resulting from these uncertaintie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First, it is a convergence study that introduced psychological factors into the field of financial management by studying people's psychological factors by defects with fund investment factors. Second, it was investigated how the difference in the likelihood of joining the fund was observed according to various demographic factors of individuals. Third, more reliable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through hierarchical logistic analysis.
    ·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for empirical analysis, data from the 2007 Fund Investor Survey conducted through Korea Research by the Korea Investor Education Foundation were us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IBM SPSS version 29. Prior to hypothesis verifica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verified, the model fit was tested, and the frequency analysis of control focu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funds was also conducted.
    ·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Expectation sentiment for stock prices has been verified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risk-taking propensity and whether or not to join the fund.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xpectation sentiment for stock prices, the more positive (+) effect the financial risk-taking propensity has on whether or not to join the fund. And. Those with an improvement focus showed a higher fund subscription rate than those with a prevention focu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n the expectation sentiment of stock prices in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improvement focus increases the fund subscription rate.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fund subscription rate increases for those with an improvement focus compared to those with a prevention focus increases when the stock price is expected to rise.
    · Contributions and expected effects: First, this study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ntrol focus and stock price sentiment on the possibility of joining the fund. Through thi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were presented to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two factors on investment decisions. Second,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explain the role of control focus and stock price sentiment to investors, thereby providing better information for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investors to make investment decisions and help them build investment strategies accordingly. Third, this study is valuable as a convergence study that considers psychological factors in research in the field of financial management, and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subsequent researc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