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용자중심의 한국형어선 제작프로세스 및 어선개발 연구 (Korea type fishing boat fabrication process and the fishing boats of Development of user-centerd)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5.04
13P 미리보기
사용자중심의 한국형어선 제작프로세스 및 어선개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6권 / 2호 / 421 ~ 433페이지
    · 저자명 : 장석정, 조정형

    초록

    본 연구는 어선개발에 있어 그간 진행해온 대부분의 연구가 어선의 기능적 성능향상에 목적을 두고 선형개발과 건조공법에 치우쳐 왔다면, 사용자중심의 사용자환경과 사용자경험을 통한 선형의 조건을 찾아내고, 우리 바다환경과 여건에 맞는 선형의 조건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진행된 한국형 어선개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사용 중인 대상 어선을 선정하고, 선정된 어선을 기준으로 어선제작을 위한 기술중심과 사용자중심의 Co-work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중심의 분석과 진행방법을 위한 분석툴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어선의 기본환경과 작업환경을 분석하였으며, 촬영된 영상물 분석을 통해 어선원의 작업패턴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어선원과의심층면접을 통한 요구조건을 수집하였으며, 어선법과 어업행정사항의 요소들을 파악하고, 자연환경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어선의 추진체, 선체소재, 선형디자인, 선체구조와 기본환경 등 한국형 어선개발의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결론부에는 기존어선대비 지향할 방향을 제시하였고, 새로운 선형디자인과 공간구조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기술 중심의 선형연구와 사용자중심의 선형디자인 연구가 함께 Co-work해 나가야 함을 절실히 느꼈으며, 두 분야 간의 통섭이 시대적 요구임을 절감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Co-work 프로세스에서와 같이 도출된 디자인의 기술적 검증을 진행하지 못 한 점에 많은 아쉬움이 남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어선원의 작업환경을 고려한 선형연구와 사용성과 감성을 충족할 선형연구들이 앞으로도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형 어선제작의 프로세스는 향후 진행될 사용자중심, 사용자경험의 어선, 보트 제작에도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우리 어업환경의 발달과 어촌의 발전을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the new hull form design develop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fishing boats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through our marine environment and the user-centered approach although most of the research purposes on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the fishing boat.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shows an unique direction of Korean fishing boat type design concept development. The research method is to select the most frequently used fishing boat styles in Korea, using the Co-work processes that is the center of the technologies and user-centered for creating vessels based on the selected fishing boats. And, I presented an analysis tool for the analysis and progression method of user-centered approach. Through this approach, I analyzed the basic environment and working environment of the target fishing boat, while the fishermen’s work pattern was analyzed through the captured video reference images. Then, I was collecting the requirements and needs through interviewing with fishermen tograsp the elements of fishing boat law and fisheries’ administrative matters, and analysis of the natural environment matters.
    Based on this proces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type fishing boats has been proposed regarding hull material, hull form design, hull structure, and basic environment. The conclusion part presents a direction directed existing fishing boat ratio presented the design of a new design and hull form of spatial structure. Through this study focused on the study of hull form design of hull form research and user-centered technology center must do and Co-work together, that consilience between the two areas is the needs of the time reduction to. There are many things insufficient remaining in the studies in that it does not proceed with technical validation of the derived design as Co-work processes presented in this study. This study looks forward to develop and improve Korean fisheries and the fish-working environment. Furthermore, the study of hull form developed by the fishing crew and the fish-working environment need to be proceeded. In addition, I am hoping the study of "The producing process of the Korean fishing boat"will be helpful for the further progress in user centeredness and user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