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년 남성에서 수면의 질과 주간 심박동변이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Middle-Aged Men)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09.12
7P 미리보기
중년 남성에서 수면의 질과 주간 심박동변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 수록지 정보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 9권 / 4호 / 289 ~ 295페이지
    · 저자명 : 서아름, 강성구, 신진희, 송상욱

    초록

    연구배경 : 본 연구에서는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를 이용하여 평가한 수면의 질과 심장의 자율신경계 활성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7년 2월부터 4월까지 경기도 소재 대학부속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중년 남성 중 특이 병력이 없는 76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 키, 체중, 혈압, 흡연력, 교육 정도, 운동력, 결혼 유무, 알코올 및 카페인 섭취량 조사와 함께 수면의 질과 심박동변이를 평가하였다. 수면의 질 측정을 위해 PSQI를 이용하였으며 6점 이상인 경우 불만족스러운 수면군으로 (N=32), 5점 이하인 군을 만족스러운 수면군 (N=44) 으로 분류하였다. 심박동변이의 평가는 안정 상태에서의 5분 동안 심전도 기록을 시간 범주와 주파수 분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 과 : 수면의 질에 따라 분류한 두 군 간의 심박동변이 값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시간 범주 분석 항목에서 RMSSD (Square root of the mean of the sum of the square of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NN intervals) 와 주파수 범주 분석 항목에서 HF (High Frequency)값이 불만족스러운 수면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17, P=0.002). PSQI의 7가지 세부항목과 심박동변이의 지표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수면장애 (sleep disturbance) 가 심할수록 MHR (mean heart rate) 이 증가하였으며, SDNN, RMSSD, HF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습관적 수면 효율성 (habitual sleep efficiency) 이 좋지 않을수록 HF값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 중년 남성에서 수면의 질의 감소는 부교감신경의 활성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이들에게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수면의 질의 세부 항목 중 특히 수면장애 항목과 습관적 수면 효율성 항목이 부교감신경의 활성도 저하와 관련이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measured by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daytime autonomic nervous function reflected in heart rate variability.
    Methods : Study subjects included those visiting a health promotion center at a medical college from February to April 2007. We assessed sleep quality (using the PSQI) and heat rate variability adjusting for age,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alcohol and caffeine consumption, educational level, regularity of exercise, smoking history, and marital status. Healthy subjects, 76 in number,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ood sleepers (≤5, N=44) vs poor sleepers (≥6, N=32) by the PSQI global score. Five-minute electrocardiographic recordings were analyzed in terms of time and frequency domains.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the square root of the mean of the sum of the square of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NN intervals (RMSSD) and the natural logarithm high frequency (ln HF)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oor sleepers compared to good sleepers (P=0.017, P=0.002). The results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QI subscales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parameter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an heart rate (MHR)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normal to normal intervals (SDNN), RMSSD, and ln HF according to the "sleep disturbance" scores. in HF was significantly lower according to the "habitual sleep efficiency" scores.
    Conclusions : We fou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oor sleepers and reduced parasympathetic activity in daytime HRV in middle-aged men; and in particular, "sleep disturbance" and "habitual sleep efficiency" (subscales of the PSQI) were related to this reduction. Clinically, this reduced parasympathetic activity seen with poor quality sleep may explain the increased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