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치심의 에토스: 톨스토이의 『부활』을 중심으로 (Ethos of Shame: A study on Tolstoy’s Resurrec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2.09
22P 미리보기
수치심의 에토스: 톨스토이의 『부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어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어노문학 / 34권 / 3호 / 155 ~ 176페이지
    · 저자명 : 조혜경

    초록

    본 고는 톨스토이의 소설 『부활』에 나타난 네흘류도프의 수치심을 분석하면서 그것이 소설의 주제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은 네흘류도프와 카튜샤, 두 주인공의 정신적인 부활의 과정을 다루고 있으나 카튜샤의 부활은 네흘류도프의 관점에서 정의된 것이라는 점, 그리고 그러한 카튜샤의 부활을 간파하는 작가의 분신과도 같은 네흘류도프의 변화와 성숙이 소설의 주요한 축을 이룬다는 점에서 네흘류도프의 정신적인 여정에서 수치심은 그의 변화와 각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치심은 타율적인 감정이자 자율적인 감정이며 자기애와 타자애와 연관 가능하다는 점에서 수치심의 원인, 수치심에 대한 태도, 수치심의 극복의 과정 등은 면밀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네흘류도프는 자신의 비열한 과거 앞에 수치심, 더 나아가 죄책감을 느끼고 자기중심적인 차원에서 수치심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자신이 누군가를 판단하고 정죄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죄를 용서해야 함을 깨닫고 나서 카튜샤에 대한 동정과 연민, 더 나아가 인류에 대한 사랑의 필요성을 깨닫는다. 수치심은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의義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감정이지만 그것이 제대로 극복되지 못한다면 개인의 고통을 극복하기 위한 위선과 가식을 초래할 뿐이다. 수치심 극복의 목적이 자신의 고통을 경감하고 자신을 정화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을 이해하고 용서하며 타인과의 연대를 통한 형제애의 실천으로 나아가야 함에 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것이 바로 수치심의 에토스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Nekhlyudov's shame in Tolstoy's novel 『Resurrection』 and to find out what kind of connection it has with the theme of the novel. The novel deals with the process of the spiritual resurrection of the two main characters, but the fact that the resurrection of Katyusha is def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Nekhlyudov, and the change and maturation of Nekhlyudov, like an alter ego of the author who sees through such resurrection of Katyusha, is the main axis of the novel. In Nekhlyudov's spiritual journey, shame plays an important role in his transformation and awakening.
    Since shame is a heterogeneous and autonomous emotion, and can be related to narcissism and self-love, the cause of shame, attitude toward shame,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it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Nekhlyudov felt shame and even guilt in front of his mean past, and tried to overcome the shame on a self-centered level. However, he acknowledges that he cannot judge and condemn anyone, and realizes that he must forgive his sins, and he realizes the need for sympathy and compassion for Katyusha and furthermore, love for humanity. Shame is a necessary emotion for the realization of righteousness at the individual level as well as the social level, but if it is not properly overcome, it will only lead to hypocrisy and pretense to overcome personal suffering. It must not be forgotten that the purpose of overcoming shame is not to alleviate one's suffering and purify oneself, but to move toward the practice of brotherly love through understanding and forgiveness and solidarity with others. That is the ethos of sh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어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