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귀순과 심리전, 1960년대 국가심리전 체계와 귀순의 냉전 정치성 (Defection and Psychological Warfare, the System of National Psychological Warfare in the 1960s and the Cold War Politics of Defection)

7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0.06
70P 미리보기
귀순과 심리전, 1960년대 국가심리전 체계와 귀순의 냉전 정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59권 / 11 ~ 80페이지
    · 저자명 : 이봉범

    초록

    이 논문은 1960년대 한국 독자적인 국가심리전의 체계 확립과 귀순자를 활용한 대내외 심리전의 전개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첫째, 냉전체제에서 귀순이 갖는 심리전적 가치와 귀순자의 존재론에 대한 검토이다. 냉전기 심리전에서 귀순은 각별한 의의를 지닌다. 자유진영으로의 귀순 자체가 냉전선상의 승리의 표상이자 체제우월성의 반증이기 때문이다. 귀순이란 정체성이 냉전의 규정 속에 특유의 정치성을 낳고 그 정치성이 박정희정권의 심리전프로젝트와 연계되어 한반도 나아가 냉전동아시아를 횡단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대일심리전이 대남 간첩침투의 차단과 북송사업에 대한 분쇄를 목적으로 재일교포를 대상으로 한 사상전에 집중되었고, 대만에 전향간첩을 파견하여 한국과 대만의 반공연대 강화와 함께 양국 정권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베트남전에서도 남북한 간 심리전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한반도 심리전의 연장이자 이를 대내적인 심리전으로 활용하는 회로가 구축되었던 것이다. 둘째, 5․16쿠데타 후 반공체제 재편성이 국가심리전의 수립으로 전환되는 제도적 맥락과 공보부로 일원화된 심리전체제의 재구성이다. 군사정부는 신속한 공보정책의 수립과 대내외 심리전의 목표와 지침 입안, 사상법제의 정비, 심리전기구의 창설 및 개편, 공보 매체의 장악 등을 체계적으로 추진하여 국가심리전체계를 완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내외문제연구소의 귀순자를 동원한 승공프로파간다, 국제방송국을 거점으로 한 전파심리전, 영화, 신문 등을 통한 대공심리전이 유기적인 시스템으로 시행되었다. 셋째, 심리전의 핵심 주체이자 요원이었던 귀순자의 생태에 대한 고찰이다. 다양한 성분, 유형, 경로로 귀순한 남파간첩을 비롯한 귀순자들이 누구이고, 그들이 무슨 심리전콘텐츠를 생산․전파했으며, 어떤 심리전활동을 전개했는가를 실증했다. 또한 중립국포로, 반공포로가 당대 심리전에 어떻게 접속되었는가도 살폈다. 전향간첩을 중심으로 한 귀순자들의 대공심리전은 대북 역선전전뿐 아니라 한국사회의 반공개발동원을 정당화하는 기제로서 큰 효과를 발휘했다. 심리전에 대한 연구는 냉전분단체제의 장기 지속성을 해명하는데 필수적인 주제이다. 동아시아 냉전지정학의 차원에서 남북심리전을 아우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Korea's independent national psychological warfare in the 1960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psychological warfare utilizing the defectors. First, it is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values of defection and the existentialism of the defectives in the Cold War regime. In the Cold War psychological warfare, defection is of special significance. This is because the return to the free movement itself is a sign of victory over the Cold War and a rebuttal to the superiority of the regime. Returning to the South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dentity is unique to the rules of the Cold War, and that politics is linked to the psychological warfare project of the Park Chung-hee regime, moving forwar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across the Cold War East Asia. The psychological warfare against Japan was focused on ideological warfare targeting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ith the aim of blocking espionage against the South and crushing the repatriation project, and sent a forward-looking spy to Taiwan to strengthen anti-communist ties between South Korea and Taiwan, as well as to ensure the legitimacy of the two governments. In the Vietnam War, psychological warfare between the two Koreas was also fierce. It was an extension of the psychological warfar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 circuit was established to use it as an internal psychological warfare. Second, the reorganization of the anti-communist system after the 5.16 coup is the reorganization of the whole psychological system, which is unified into the institutional context a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hich is converted into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sychological warfare. The military government systematically implemented the national psychological warfare system by establishing prompt public relations policies, drawing up goals and guidelines for internal and external psychological warfare, readjusting the ideological laws, creating and reorganizing psychological warfare organizations, and taking control of the media. Based on this, the anti-aircraft psychological warfare was organically conducted through defeat communism Propaganda, which mobilized the returnees of the Institute for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radio psychological warfare based on the international broadcasting station, and anti-aircraft psychological warfare through movies and newspapers. Third, it is a review of the ecology of the defectors who were key players and agents in psychological warfare. It demonstrated who the defectors were, what they did, and what psychological warfare activities they carried out, including the Southern spy who defected to the South in various ingredients, types and routes. It also looked into how the neutral POWs and anti-communist prisoners were connected to the psychological warfare of the time. The anti-communist psychological warfare of the defectors, centered on forward-looking spies, worked as a mechanism to justify the anti-communist development mobilization of Korean society as well as counter-propaganda campaigns against North Korea. The study of psychological warfare is an essential subject in explaining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the Cold War system. It is time for a study that encompasses inter-Korean psychological warfare in terms of East Asia's cold-cell suspens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