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폼의 C.I 적용 현황 및 색채이미지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의 시청민원실 유니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I and Color Image to Uniforms -Focused on Uniforms of City Hall Public Service Center in the Local Governmen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차별화된 도시 정체성과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적 특성과 문화를 토대로 한 C.I 즉, 심볼마크, 로고, 도시 전용색, 도시브랜드 슬로건 등을 개발하여 도시가 지향하는 미래상과 이미지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지자체의 대표적 공공기관인 시청 민원실 직원의 유니폼 착용실태 조사와 조형성 분석을 통해 지자체 C.I가 시청 민원실 유니폼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C.I와 유니폼의 색채이미지 일치도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범위는 지자체중에서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지 않은 부산시를 제외한 6개 지자체의 시청유니폼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에서는 공공디자인과 도시 아이덴티티, C.I 응용요소로서의 유니폼,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유니폼 사례, 색채 이미지에 대해 고찰하였고, 실증연구에서는 지자체 C.I와 시청 민원실 직원의 유니폼 현황을 착용실태와 조형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다음, 유니폼 디자인에의 지자체 C.I 적용 현황,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나타난 형용사와 유니폼의 색채이미지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니폼의 착용실태를 보면, 서울시와 대구시는 남․녀 모두 착용하고 있고, 인천시, 광주시, 대전시, 울산시는 여직원만 착용하고 있다. 6개 지자체 모두 하복과 동복을 구비하고 있고, 유니폼 디자인은 근무자와 관리자의 합의를 통해 기능성, 심미성, 경제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서 선정하고 있다. 그리고 구매 형태는 서울시, 인천시, 대전시, 울산시는 유니폼 전문업체에서 납품을 받고 있는 것에 반해, 광주시는 기성복을 구입해서 착용하고 있고, 대구시는 자체 개발한 디자인을 착용하고 있다. 둘째, 유니폼의 조형적 특성을 보면, 서울시와 대구시의 남직원 유니폼은 테일러드 칼라의 재킷과 셔츠, 팬츠의 쓰리피스형식이며, 6개 지자체의 여직원 유니폼은 블라우스나 셔츠에 A라인 스커트 또는 팬츠의 투피스형식이다. 남직원 유니폼의 경우, 서울시는 신뢰감과 안정된 느낌을 주는 dk톤의 PB계열 재킷과 팬츠, Wh계열 셔츠, B계열 넥타이를 착용하고 있으며, 대구시는 PB계열 재킷과 Wh계열 셔츠, mGy 팬츠를 착용하고 있다. 여직원 유니폼의 경우, 서울시는 PB(dk), Y(p), Y(ltg)가 배색된 블라우스와 PB(dk)계열 스커트(팬츠), B(b)계열 리본을 착용하고 있으며, 인천시는 PB(dk), Wh, B(b)가 배색된 블라우스와 ltGy계열 스커트(팬츠)를 착용하고 있고, 대구시는 ltGy/RP(s)의 도트문양이 있는 ltGy계열 블라우스와 ltGy계열 스커트(팬츠)에 RP(s)계열 리본을 착용하고 있다. 광주시는 PB(d), PB(lt), RP(ltg)계열 도트문양이 있는 B(p)계열 티셔츠를, 대전시는 B(p)계열 스트라이프 문양이 있는 블라우스를 착용하고 있으며, 울산시는 PB(dk)계열 블라우스와 ltGy계열 스커트를 착용하고 있다. 셋째, 지자체 C.I의 유니폼 적용현황을 보면, 서울시는 캐릭터인 ‘해치’를 형상화한 뺏지를 유니폼에 부착하고 있으며, 대구시는 도시브랜드 슬로건인 ‘컬러풀 대구’의 모티브와 색채를 유니폼 블라우스의 문양에 활용하여 화려한 도시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반면, 그 외 4개 지자체는 유니폼에 지자체 C.I를 적용하고 있지 않았다. 넷째,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나타난 형용사와 유니폼의 색채이미지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울산시는 일치하고 있는 반면, 서울시, 인천시, 대구시, 광주시, 대전시는 거의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도시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공공 디자인으로서의 유니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도시의 문화와 C.I를 적용한 유니폼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local governments develop C.I including a symbol mark, a logo, city color, a city slogan, and a brand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e to build unique city identity and image and actively use it as a communication tool which delivers a future prospect and image a city orient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C.I of the local governments is applied to uniform design of city hall public service center by examining the situation of uniform wearing and analyzing formativeness in public service center staff, and analyze image congruency of uniform with color. The scope of study was limited to six local governments except Busan which did not wear uniform. For the methods of study, literature study considered public design, city identity, uniform as C.I Application Element, uniform cases as visual communication, and Color image. Empirical study examined the situation of C.I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staff uniform of city hall public service center with its focu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wearing and formativeness and analyzed C.I application of the local governments, adjectives appearing in city brand slogans, and congruency between uniform color. Fin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for the wearing condition uniform in city hall public center staff, Seoul and Daegu used uniform in both male and female staff, whereas Incheon, Gwangju, Daejeon, and Ulsan used it only in female staff. All of six local governments had both winter and summer uniform. Uniform design wa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economics under a mutual agreement by workers and managers. For a urchase type, while Seoul, Incheon, Daejeon, and Ulsan was supplied by professional uniform enterprises, Gwangju purchased a ready-to-wear, and aegu developed and wore its own design. Second, for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uniform, male staff uniform in Seoul and Daegu had three-piece style consisting of tailored collar jacket, shirt, and pants, but female staff uniform of six local governments was two-piece style consisting of blouse or shirt and A-line skirt or pants. For male staff uniform, Seoul used PB(dk) jacket and pants, Wh shirt, and B necktie which delivered the sense of trust and stability and Daegu used PB jacket, Wh shirt, and mGy pants. For female staff uniform, Seoul used PB(dk) and Y(b), Y(ltg) blouse, PB(dk) skirt(pants), and B(b) ribbon; Incheon used PB(dk), Wh and B(b) blouse, and ItGy skirt(pants);Daegu used ItGy/RP(s) blouse with a dot pattern, ItGy skirt(pants), and RP(s) ribbon. Gwangju used PB(d), PB(lt), RP(ltg) T-shirt with a dot pattern; Daejeon used B(p) blouse with a stripe pattern; and Ulsan used PB(dk) blouse and ItGy skirt. Third, for the application of C.I to uniform by the local governments, Seoul put a badge which shapes its character, 'Haechi' on uniform, Daegu used motive and color of 'Colorful Daegu' which is its city brand slogan for blouse pattern to express a colorful city image. On the other hand, the rest four local governments did not apply C.I to their uniform. Finally, congruency between adjective appearing in a city brand slogan and color image of uniform was analyzed. While Ulsan was congruent, Seoul, Incheon, Daegu, Gwangju, and Daejeon was not congrue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uniform as public design and develop uniform which applies city culture and C.I.
해피캠퍼스에서는 자료의 구매 및 판매 기타 사이트 이용과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되지만, 자료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안내가 어렵습니다.
자료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판매자에게 직접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구매자료] 에서 [자료문의]
2. 자료 상세페이지 [자료문의]
자료문의는 공개/비공개로 설정하여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됨과 동시에 자료 판매자에게 이메일과 알림톡으로 전송 됩니다.
판매자가 문의내용을 확인하여 답변을 작성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휴대폰번호 또는 이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은 자제해 주세요.
※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찾으시는 자료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판매 중에 있으며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합니다.
1. 자료 검색 시에는 전체 문장을 입력하여 먼저 확인하시고
검색결과에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면 핵심 검색어만 입력해 보세요.
연관성 있는 더 많은 자료를 검색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면? 카테고리, 기간, 파일형식 등을 선택하여 검색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해 보세요.
2. 검색결과의 제목을 클릭하면 자료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자료구성), 페이지수, 저작일, 가격 등 자료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소개글, 목차, 본문내용, 참고문헌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여 원하시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세요
자료는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자료라면 판매가 가능합니다.
해피캠퍼스 메인 우측상단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자료 개별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자료등록 순서는?
자료 등록 1단계 : 판매자 본인인증
자료 등록 2단계 : 서약서 및 저작권 규정 동의
서약서와 저작권 규정에 동의하신 후 일괄 혹은 개별 등록 버튼을 눌러 자료등록을 시작합니다.
①[일괄 등록] : 여러 개의 파일을 올리실 때 편리합니다.
②[개별 등록] : 1건의 자료를 올리실 때 이용하며, 직접 목차와 본문을 입력하실 때 유용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