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술작품에서의 심상표현과 창조적 작업과정에 관한 고찰- 작업실 미술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 (Investigating Imagery Expression and Creative Work Process in Art Work – Focusing on the studio art therapy case -)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7.12
17P 미리보기
미술작품에서의 심상표현과 창조적 작업과정에 관한 고찰- 작업실 미술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기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기예술연구 / 10권 / 2호 / 159 ~ 175페이지
    · 저자명 : 문경아

    초록

    본 연구는 작업실 미술치료 사례를 통해 미술작업과정에서의 창조성과 작품의 심상표현을 살펴봄으로서 미술의 치유적인 속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술치료에서 작품은 언어와는 다른 차원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미술치료의 치료효과 중 작업의 심상표현과 창조적인 작업과정은 ‘치료로서의 미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이 사례의 내담자는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함으로써 제한적인 자신의 환경에서 벗어나 타인과 소통하고자 하였고, 그의 노력은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또 다른 창의적 영감을 줄 수 있었다. 미술의 치유적인 속성에 많은 비중을 두는 ‘치료로서의미술’의 의미를 재탐색하고 타 심리치료와 차별화할 수 있는 미술치료의 특수성과 미술작업의 중요성을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작업실 미술치료가 활성화되고 더 나아가 미술치료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A play has been developed through lots of social phenomenon, science technology and ideas. through these, the play has autogenic power and repeat change and improvement.
    To make progress in the play, the things that never change is 'actor and audience'. Trend, structure of theatre and performing style has been changed, and yet the actor and the audience have not. Therefore, the actor is thought to be 'flower of the play'. To bloom the flower, the actor needs water. The water that is a variety of training.
    Training is the most important and basic to the actor and even though the style of the performing differs, the actor should remember training. Because, in temporary theatre, the actor performs presentational acting and limited acting at the same time. Also there should be a new training which is not bounded by the trend and combining the aspect of those acting for the actor.
    The limited acting is based on traditional western realism. It is not only exceedingly ordinary and natural but also reproducing and copying daily experience.
    Different from the limited acting, there is presentational acting which gets out of the traditional way of acting style. It is copying form of the Aristotle, the actor exists as a form of re-analysis and doubt of acting.
    All the actor want-to-bes should know the presentational acting and the limited acting and learn how to do them. Yet it is depend on tendency of director or acting methods. These kinds of differences can awaken characteristics of acting trai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기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