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P 미리보기
정복근 희곡의 극작술 고찰 -<실비명>과 <이런 노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7권 / 1호 / 221 ~ 243페이지
    · 저자명 : 김윤정

    초록

    고전적인 극의 특질은 ‘인간 상호 간’에 ‘현재’ 일어나는 ‘사건’을 ‘대화’를 통해제시하는 것이다. 그 사건은 갈등을 중심으로 하며, 이 갈등이 얽히고 풀려가는것을 주 내용으로 하고, 이 과정은 긴장을 동반한다. 그러나 19세기 말로 오면 서사화된 극들이 나오는데, 이로 인해 극은 ‘인간 상호 간’에 ‘현재’ 일어나는 ‘사건’보다는 ‘과거’에 일어난 사건으로 인해 어떤 ‘상황’에 처한 개인이 자신의 삶을 성찰하면서 자신의 ‘내면’을 ‘독백’을 통해 드러내 보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극은 객관적인‘제시’를 넘어서 주관적인 ‘설명’까지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복근의 희곡은이런 서사화된 극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녀의 희곡에는 과거에 일어난 사건 때문에어떤 상황에 놓이게 된 인물이 등장하며, 이 인물은 내면을 가득 채우고 있는 과거의 사건을 돌아보면서 독백으로 이야기한다. 그런데 주목을 요하는 것은 그녀의희곡은 독백뿐만이 아니라 무대 위에 살아 있는 인물처럼 형상화된 ‘죽은 인물’들을등장인물들과 대화하게 함으로써 그들의 내면을 드러내 보인다는 것이다. 죽은 인물들을 컨피단트로 기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방식을 통해 정복근의 희곡은현재보다는 과거로 가득 차게 되고 현재는 과거의 영향을 받는다.
    이렇게 과거 회상으로 가득 차 있는 그녀의 희곡들이 극의 필수 요건이라고 여겨지는 ‘긴장’을 만들어내는 방식은 ‘지체’이다. 이러한 지체는 현재 일어나는 사건이없고 과거에 이미 일어난 사건에 초점이 가 있는 정복근 희곡의 긴장감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원래 고전적인 극에서 플롯은 갈등을 묶었다가 푸는 과정이고, 이과정에서 긴장이 조성된다. 그러나 그녀의 희곡에 등장하는 사건들은 과거에 일어났던 것들이기에 더이상 갈등이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희곡의 줄거리는 등장인물이 현재에 왜 그런 상황에 빠져 있는지를 서서히 보여주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분명히 뭔가가 일어났는데 그것을 파악하는 데까지 시간을 지체시키는 것, 즉 이야기-시간과 담화-시간의 차이를 벌림으로써 결말에 대한 궁금증을 계속해서유지해 가는 것이다. 이렇게 그녀의 희곡은 고전적인 극과는 다른 방식으로 긴장을만들어낸다. 이러한 정복근 희곡의 형식은 내용과 잘 맞아떨어지는데, 그녀의 희곡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과거의 사건은 지체를 통해 서서히 드러나면서 작품 전체를이루고, 또한 이러한 지체를 통해 긴장감도 끝까지 지속된다.

    영어초록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plays are characterized by presenting 'events' that occur 'now' between 'human beings' through 'dialogue'. The event is centered on conflict, and the main content is that this conflict is entangled and resolved accompanied by tensions. However,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narrative dramas appeared, in which an individual in a certain 'circumstance' due to events that occurred in the 'past' rather than 'in the present' between 'human beings', reflectes on his or her own life and reveals the 'inner side' by 'monologue'. Jeong Bok-geun's plays take on the form of such a narrative drama. In her plays, there is a character who is put in a certain situation because of events that happened in the past, and he(or she) talks in a monologue looking back at the past events that fills his(or her) inner world. However, what draws our attention is that Jeong Bok-geun's plays reveal the inside of the characters by making an appearance of the 'dead characters' like living characters on the stage, who function as confidants of other characters, as well as monologues. Through these two methods, Jeong Bok-geun's plays are filled with the atmosphere of the past rather than that of the present.
    It is 'delay' that the way that her plays filled with recollections of the past create the 'tension' that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the play is. This delay helps maintain the suspense of Jeong Bok-geun's plays which lack present events and focus on the past. Originally, in classical plays, the plot is the process of tying and untying conflicts, and tension is created in this process. However, conflicts do not exist any more because the events in her plays happened in the past. Rather, the plot of the play focuses on gradually revealing why the characters are put into the situation where they are in the present. Something has definitely happened, but it takes a long time for us to figure it out because of the wide gap between story-time and discourse-time, so we have to keep our curiosity about the ending. In this way, her plays show a quality different from the tension shown in classical plays. The form of Jeong Bok-Geun's plays fits well with the content. The events of the past, which her plays focus on, are gradually revealed through delays to form the whole work, and through these delays, the tension continues to the e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