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 앞에 펼쳐진 풍요의 굿놀이, <도산말명 방아찜굿> 연구(1) (Study on Dosanmalmyong Bangaijim, a gutnori of fertility before the God(1))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0.04
27P 미리보기
신 앞에 펼쳐진 풍요의 굿놀이, &lt;도산말명 방아찜굿&gt; 연구(1)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화 / 71호 / 161 ~ 187페이지
    · 저자명 : 윤준섭

    초록

    본 논문은 황해도 굿놀이 <도산말명 방아찜굿>에 내재된 기복(祈福)과 웃음의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① 굿놀이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모습을 확인하고, ② 이들의 방아타령의 의미를 고찰하여, ③ 새로운 남녀 화합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도산말명 방아찜굿>에는 여러 인물이 등장한다. 첫 번째 인물은 ‘도산말명’이다. 그녀는 신이지만, 사람들은 그녀를 온전한 선신(善神)으로 대접하지 않았다. 이후 등장하는 ‘지신집 큰애기’, ‘살량집 며느리’ 역시 숭상의 대상 보다 웃음의 대상이 되며 방아 찧기에 실패한다. 끝에 등장하는 ‘봉산네 오라바이’만이 유일하게 방아를 찧는다.
    <도산말명 방아찜굿>에는 여러 방아타령이 불려진다. 지신집 큰애기, 살량집 며느리가 불렀던 방아타령은 ‘사랑타령’, ‘좀타령’, ‘가족타령’으로 이해된다. 반면 봉산네 오라바이만이 온전한 방아타령을 부른다. 봉산네 오라바이가 방아타령을 부르며 방아를 찧을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방아공이[성기]를 지닌 남성이었기 때문이다.
    이 굿놀이는 겉으로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내세운다. 남성인 봉산네 오라바이만이 방아를 찧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가 방아 찧기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사랑타령’, ‘좀타령’을 불렀던 지신집 큰애기, 살량집 며느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살량집 며느리는 ‘좀타령’을 통해 부정을 물리치고, 지신집 며느리는 ‘사랑타령’을 통해 방아확의 역할을 한 것이다. 요컨대 <도산말명 방아찜굿>은 겉으로는 남녀의 차이를 표현하지만, 그 이면에는 남녀의 조화를 통해 복을 기원하는 방아 찧기에 성공한다는 내용이 담긴 굿놀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ed to examine the meaning of praying for good luck and laugh inherent in the Hwanghae-do gutnori Dosanmalmyong Bangaijim.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in a way that checked the characters in the gutnori, looked at the meaning of ‘Bangataryeong’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Sinmyung-Puli’.
    Various characters appear in Dosanmalmyong Bangaijim. The first character is DosanMalmyeong. She was a god, but she did not treat her as a good god(善神). Since then, people who milling the grain also make her a laughing rather than a noble god. In the process, only Bongsanne Orabai succeeded in crushing the grain.
    In Dosanmalmyong Bangaijim, many ‘Bangataryeong’ is sung. The Bang Ah-ryeong, sung by Jishinjip Keunaegi, Sallyangjip Myeoneuri, is confirmed to be ‘SarangTaryeong,’ ‘Jometaryeong’ and ‘GajokTaryeong.’ On the other hand, only Bongsanne Orabai can sing a perfect ‘Bangataryeong’. He was able to mill the grain while singing a perfect ‘Bangataryeong’ because he was a man with a mill pestle[virilia].
    This gutnori exposes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on the surface. Because only a male Bongsanne Orabai can milled grain. However, he was able to succeed milling the grain because of Jishinjip Keunaegi’s ‘SarangTaryeong,’ and Sallyangjip Myeoneuri’s ‘Jometaryeong’. In short, Dosanmalmyong Bangaijim expresses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but in the process, laughter is triggered, and eventually, to express the Shinmyoungpuri of harmony between men and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